세계 각지에서 발행되고 있는 220개 의학저널이 입을 모아 기후변화로 인한 폐해를 강력히 경고하고 나섰다.
“지구의 온도상승과 자연 생태계 파괴로 인류 건강이 이미 큰 피해를 보고 있으며, 향후 더 심각한 사태가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미온적인 조치로는 피해를 해소하기 힘들다.”는 것.
“코로나19 팬데믹이 수그러들지 않는 상황에서 그것을 이유로 지금 상황을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더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알리고 적극적인 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과학자, 기업인 등 관계자들과 연합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220개 저명한 의학저널 편집인들이 공동사설 형식을 빌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인류 건강의 위기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게티이미지뱅크
65세 이상 인구 사망률 50% 이상 증가
세계 주요 의학저널 편집인들이 다수 참여해 미래 인류건강을 위한 긴급대책을 촉구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저널 편집인들의 견해는 사설의 형식을 빌려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 등 220개 의학저널에 동시 게재됐는데 제목은 ‘Call for emergency action to limit global temperature increases, restore biodiversity, and protect health’이다.
특히 게재된 공동사설은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조치를 촉구하는 내용을 강하게 담고 있어, 관계자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공동사설 중 주목할 부분은 “지구 온난화와 자연 파괴로 이미 (인류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는 내용이다.
의학저널 편집인들은 “이런 사실은 건강 전문가들이 지난 수십 년 전부터 주목해온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미온적이고 소극적인 조치로는 지금의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며, “사회적으로 근본적이고 공평한 차원의 적극적인 조치를 통해 현 상황을 역전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편집인들은 “실제로 어떤 온도 상승도 건강에 해롭다.”고 밝혔다. “건강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특히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 평균온도보다 1.5°C 상승하고 생물 다양성이 지속적인 감소할 경우 인류 건강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 그 위험성에 대해 이미 충분한 데이터가 확립돼 있다.”는 것.
실제로 지난 20년 동안 높은 기온으로 인해 사망한 65세 이상 인구수가 50% 이상 증가했다. 온도 상승으로 인해 탈수증 및 신장기능 손실, 악성 피부종양, 열대성 질병의 감염, 악성 정신질환, 임신 합병증, 알레르기, 혈관 및 폐 질환 등으로 사망하는 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사회‧경제, 삶의 방식 등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더 심각한 것은 이런 피해가 일부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어린이를 비롯한 노약자, 소수 민족, 빈곤 지역 주민, 기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등 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에게 피해가 불균형적으로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식량 문제도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온도 상승은 1981년 이후 주요 작물의 생산량을 1.8-5.6% 감소시켰다. 결과적으로 취약 계층의 영양실조를 가속하고 있는데 주변 자연 생태계 파괴는 사람에게 필수적인 생물 종을 소멸시켜 식량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더 심각한 것은 생태계 파괴로 인한 신종 전염병 발병 가능성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아무리 부유한 국가조차도 이런 위험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온도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현행 조치보다 더 강력한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학저널 편집인들은 지금 진행되고 있는 정책들은 21세기 중반까지 배출 탄소량과 제거 탄소량이 0이 되는 넷 제로(Net Zero)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을 수 없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고 상한선으로 책정하고 있는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 평균기온 대비 1.5°C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불충분한 조치는 온도 상승이 2°C에 도달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인류 전체의 건강 및 안정성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편집인들은 건강전문가들이 이런 결과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감안해 환경 전문가, 과학자, 기업인, 정책 담당자 등과 연계해 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각국 정부는 사회‧경제 시스템, 삶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적으로 청정 기술을 도입하고, 교통 시스템, 도시, 식품 생산 및 유통, 금융 투자 시장, 의료 시스템 등의 재설계를 지원하는데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지구 환경 파괴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체적인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 적극적을 대응했듯이 지구 온난화에 비상 대응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른 어느 곳에서나 고려되거나 제공되는 것 이상의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며, 이런 투자는 향후 엄청날 만큼 긍정적인 건강 및 경제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양질의 일자리, 대기 오염 감소, 신체 활동 증가, 주택 및 식단 개선 등 전 세계적으로 배출 감소를 위해 지출한 비용을 상쇄할 만큼의 특히 건강상의 이점을 실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315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