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RM 푸름이야기] 제4회 : 신개념 재생치료제, 오가노이드
글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유종만 대표
오가노이드는 장기를 뜻하는 organ과 유사함을 뜻하는 접미사인 –oid를 합쳐서 만든 신조어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만든 3차원 미니 장기를 의미하며, 장기의 세포 구성, 구조 및 기능적 특이성을 재현합니다.
오가노이드는 실제 장기와의 유사성을 활용한 질병 모델과 조직 재생능을 활용한 재생치료제 두 가지 측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오가노이드 기반의 재생치료제는 오가노이드를 직접 손상된 조직에 이식하여 조직 손상을 복구할 수 있는 근원적 치료제가 될 수 있어 새로운 개념의 재생치료제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최초로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의 개념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연구는 네덜란드 Hans Clevers와 일본 Watanabe Mamorou 연구진이 2012년 Nature Medicine에 발표한 논문으로 장 오가노이드를 염증성 장질환 동물모델에 이식하여 그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것이었습니다 [1].
이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는 기존 재생치료제와 다음과 같은 차별화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세포 확보가 용이합니다: 오가노이드 생성에 필요한 조직은 대부분 생검으로 쉽게 채취할 수 있으며 필요한 양이 극소량이기 때문에 공여자에게 부담이 없는 시술로 확보가 가능합니다.
○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습니다 : 오가노이드는 체내와 유사한 배양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에 성체조직을 활용함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대량 배양이 가능해 치료제로써 제공이 용이합니다.
○ 조직 특이 세포로의 분화능이 우수합니다 : 오가노이드 내 조직 특이 성체줄기세포는 해당 장기나 조직으로의 분화능이 우수하여 이식 시 직접적인 조직 재생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재생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 오가노이드가 이식된 체내 부위는 안전합니다 : 오가노이드는 성체줄기세포를 활용하기 때문에 종양형성의 위험성이 매우 적으며 병변 부위에 직접이식을 하기 때문에 타 장기로의 이동 및 분포 가능성이 낮고 자가세포를 활용할 경우 면역거부 위험이 없습니다.
○ 오가노이드 이식 시술이 안전합니다 : 오가노이드를 이용하는 치료제의 적응증이 대부분 국소 이식이며 내시경, 초음파 등을 활용해 최소 침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 친화적입니다.
[그림 1]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의 장점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동영상]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개념 (https://youtu.be/8U02JQivf30)
앞서 설명한 장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의 첫 번째 연구 결과를 냈던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의 Watanabe Mamoru 교수팀은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임상 개발에 가장 먼저 진입하였습니다. 2020년에는 임상 적용을 위한 제조 및 품질관리 확립을 마치고 임상 시험을 위한 IND (Investigational New Drug) 승인을 받았으며, 올 2022년에는 궤양성 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 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개발의 선도 기업인 오가노이드사이언스社는 비임상 시험을 통해 장 오가노이드의 방사선 직장염에서의 치료효과를 입증한 바 있습니다 [2]. 골반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방사선 직장염은 근본적 치료법이 없는 질환이지만 동물 모델에 이식했을 때 성공적인 장 조직 재생을 통해 근본적 치료가 가능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社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 주도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에 진입하여 국내 최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환자투여가 조만간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그림 2] 방사선 직장염 모델에서 장 오가노이드 이식에 의한 재생 유도 연구 (Jee J. et al., Biomaterial, 2021 [4])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장 오가노이드의 개발과 더불어 침샘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구강 건조증 치료 연구 역시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에 있습니다. 구강 건조증은 두경부 질환을 위한 방사선 치료, 쇼그렌 증후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침 분비 저하로 야기되는 구강 내 감염, 치아 손상 등 여러 증상을 유발하지만 근원적 치료법이 없어 재생치료만이 유일한 치료법이 될 것이라 기대하는 질환입니다. 네덜란드의 University of Groningen의 Robert P. Coppes 교수팀은 침샘 조직으로부터 침샘 오가노이드를 제작하여 방사선 침샘 기능 저하 마우스 모델에 이식해 침 분비량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고, 현재 Hans Clevers 연구팀과 함께 2021년 상반기 IND 승인을 받았으며 하반기에는 임상시험에 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3].
국내 오가노이드사이언스社 역시 방사선 치료 및 쇼그렌 증후군 연관 구강건조증을 타겟으로 한 침샘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제조공정개발을 마치고 2023년 임상시험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그림 3] 구강 건조증의 증상 및 치료제 현황 (오가노이드사이언스社 제공)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끝으로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상용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효능의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인체에 사용이 가능한 생산 공정 개발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따라 오가노이드사이언스社에서는 2021년 말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전용 GMP 시설을 완공하여 임상 진입을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그림 4] 오가노이드사이언스社의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전용 GMP 시설 ⓒ오가노이드사이언스
1. Yui S, Nakamura T, Sato T, Nemoto Y, Mizutani T, Zheng X, Ichinose S, Nagaishi T, Okamoto R, Tsuchiya K, Clevers H, Watanabe M. Functional engraftment of colon epithelium expanded in vitro from a single adult Lgr5⁺ stem cell. Nat Med. 2012 Mar 11;18(4):618-23. doi: 10.1038/nm.2695.
2. Jee J, Park JH, Im JH, Kim MS, Park E, Lim T, Choi WH, Kim JH, Kim WR, Ko JS, Jeong SY, Ko SY, Lee JI, Lee KJ, Jeon H, Seo JH, Hwang DY, Shin HS, Yoo J. Functional recovery by colon organoid transplantation in a mouse model of radiation proctitis. Biomaterials. 2021 Aug;275:120925. doi: 10.1016/j.biomaterials.2021.120925. Epub 2021 May 29.
3. Pringle S, Maimets M, van der Zwaag M, Stokman MA, van Gosliga D, Zwart E, Witjes MJ, de Haan G, van Os R, Coppes RP. Human Salivary Gland Stem Cells Functionally Restore Radiation Damaged Salivary Glands. Stem Cells. 2016 Mar;34(3):640-52. doi: 10.1002/stem.2278.
* 이 글은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으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187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