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북극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토양에 갇혀있던 메탄과 탄소가 방출되기 시작했다. 인류 문명이 발생시킨 이산화탄소가 온난화를 유발하고, 그로 인해 또 다른 온실가스의 배출량이 증가하는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다. 그나마 산림과 해양이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여 균형을 맞추고 있는데, 흡수량보다 발생량이 점차 많아져서 온난화를 가속시킨다는 게 중론이다.
지난 12일 ‘네이처’지에 소개된 연구는 열대우림이 더 이상 기후변화의 방어막은 아닐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지금껏 열대우림은 대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곳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기존 상식과 달리, 열대 토양이 따뜻해지면서 오히려 탄소 배출원으로 바뀔 수 있다는 역설적인 실험 결과가 나왔다.
열대 토양에 함유된 탄소는 이전 예측보다 온난화에 민감하다. ⓒ lubasi, Wikimedia Commons
대기 중의 탄소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려면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원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열대 토양은 지구의 탄소 순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온난화로 어떤 영향을 받는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애든버러 대학교의 지구과학자인 앤드루 노팅엄(Andrew Nottingham) 박사후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온난화가 열대 토양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이 실험은 파나마 바로 콜로라도(Barro Colorado) 섬에 있는 스미스소니언 열대연구소(STRI)에서 진행된 것으로, STRI와 호주국립대학교(ANU) 연구원들이 함께 참여했다.
연구팀은 열대 토양의 온도를 높여 실험한 결과, 토양 미생물의 종류가 바뀌고 미생물 활동이 증가하면서 더 많은 탄소를 방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미래의 탄소 배출량을 예측하기 위해 토양 온도를 조절하는 노팅엄 연구원. ⓒ Smithsonian Archives
열대우림의 탄소 배출량이 55% 증가할 가능성 있어
전 세계 토양에서 매년 순환하는 탄소량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최대 10배나 많다. 지구 전체의 평균 표면 온도는 산업 혁명 이전보다 1℃ 정도 더 올랐고, 바다를 제외한 육지의 표면 온도 상승 폭은 거의 2℃에 육박한다.
열대우림은 전 세계 토양에 들어 있는 탄소의 4분의 1을 저장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현재 예측에 따라 기온이 계속 상승할 경우, 열대 토양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어떻게 변할지를 실험한 것이다. 연구팀이 열대 토양 온도를 4℃ 더 올려서 유지하자 탄소 배출량은 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노팅엄 연구원은 “다음 세기에는 지구 기온이 4~8℃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열대 토양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약 9% 증가시킬 수 있다”라고 밝혔다.
영구 동토층의 해빙과 함께 열대림에서도 막대한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있다. ⓒ Pixabay
토양 온도와 탄소 배출량에 관한 실험이 열대 지방에서 행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기후 모델들은 토양에서의 잠재적 탄소 누출 가능성을 과소평가했다. 모두 이론적 계산에 의존했고, 현장 테스트 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
새로운 발견에서 추론해보면, 만약 전 세계의 모든 열대 토양이 2100년 이전에 2년 동안 4℃ 더 가열됐을 때 대기 중에는 약 650억 톤의 탄소를 방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이산화탄소 2400억 톤에 해당하는 분량으로, 인류 문명이 매년 배출하는 탄소량의 6배가 넘는다.
노팅엄 연구원은 “오히려 과소평가일 수 있다. 왜냐면 실험을 2년간만 지속했기 때문이다. 더 오랜 기간 실험하면 탄소 배출량이 증가할지도 모른다”라고 언급했다.
숲의 탄소 순환 능력은 갈수록 저하
한편 이번 연구에 관해 일부 과학자는 아직 지켜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단일 실험에 기초하여 포괄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열대우림의 탄소 흡수가 점차 둔화할 거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지금까지 산림과 바다가 인위적인 과잉 탄소 배출량의 약 절반가량을 흡수했지만, 이미 일부 숲에서 포화 징후가 발견되고 있다.
무차별적인 벌목도 산림의 탄소 순환을 막는 한 가지 요인이다. 나무를 자르면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고스란히 대기 중에 방출한다. 온라인 산림감시매체인 ‘글로벌 포레스트워치(Global Forest Watch)’에 따르면, 지난해 6초마다 초등학교 운동장 면적의 산림이 사라졌다. 이는 연간 3만 8000 입방 킬로미터에 달하는 숲이 파괴되었음을 뜻한다.
(300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패턴의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봉훈 교수,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기술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수십억 개 나노 패턴을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거미가 사람처럼 한밤중에 이른바 '렘수면' 상태의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서구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9일 AP 통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 콘스탄츠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다니엘라 뢰슬러는 한밤중 줄에 매달린 작은 깡충거미의 행동을 카메라로 살펴본 결과 마치 렘수면 상태에 빠진 것처럼 다리를 씰룩거리고 눈을 깜빡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10일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은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夢天)을 최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각종 테스트 작업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발사해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하면 'T'자형 우주정거장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30년 전인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는 소식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질량 48.6㎏의 아주 작은 위성인데다가 제작도 해외 대학(영국 서리대)과 함께 했지만, 우리별 1호의 개발과 발사는 우주과학기술 불모지였던 한국이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국은 우리별 1호가 우주로 올라가면서 세계에서 22번째로 국적 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고,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을 확보해 오늘날 자력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고분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재업 교수 연구팀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던 계산을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는 'AI 고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했다. 옷감이나 플라스틱 등 우리 일상에는 고분자로 만든 재료가 많고, 특히 나노 기술은 고분자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