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이상 경제성장 둔화…빈도 늘며 21세기 손실 11경1천800조
태평양 수온이 오르며 홍수와 가뭄 등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엘니뇨가 종료된 뒤에도 영향이 수년간 이어지며 5천조∼7천조원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19일 나왔다.
이런 손실 규모는 지금까지 제시돼온 것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올해 역대급 엘니뇨가 발생할 것이란 전망과 겹쳐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 다트머스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지리학 조교수 저스틴 맨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엘니뇨에 의한 장기적인 경제적 손실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82∼1983년과 1997∼1998년 엘니뇨 이후 국제 경제활동을 추적해 장기적인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5년 이상 경제성장이 둔화하는 ‘끈질긴 흔적’이 발견됐으며, 극빈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에 각각 4조1천억달러(5천460조원)와 5조7천억 달러(7천592조원)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 것으로 집계됐다.
엘니뇨에 따른 영향은 나라별로 편차가 컸는데, 미국은 엘니뇨 5년 뒤인 1988년과 2003년에 각각 국내총생산(GDP)이 약 3% 줄어들었으며, 페루와 인도네시아 등 열대 태평양 연안국은 2003년에 GDP가 10% 이상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기후변화로 엘니뇨가 더 잦아지고 세력도 강해지면서 21세기 전체에 걸친 경제적 손실이 84조 달러(11경1천82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올해 엘니뇨로 유발될 경제적 손실도 2029년까지 약 3조 달러(3천994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논문 제1저자인 박사학위 후보 크리스토퍼 캘러헌은 엘니뇨가 끝났다고 곧바로 회복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은 확신을 갖고 말할 수 있다면서 관련 자료들은 최대 14년까지 하락세가 지속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열대지역과 엘니뇨 영향을 받는 곳에서는 적어도 5년간 성장이 연기되는 현상을 겪을 것이라면서 총비용은 아직 완전히 산출된 적이 없으며, 엘니뇨가 발생하는 기간뿐만 아니라 앞으로 이어질 성장 침체까지도 계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맨킨 조교수는 “우리가 밝혀낸 재정적 영향의 규모와 기간은 인류가 기후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면서 “이번 분석 결과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비용을 극적으로 늘려놓았는데, 엘니뇨가 앞으로 지구온난화의 미래 비용을 늘려놓기만 할 것이라는 점에서 기후변화를 완화하고 엘니뇨 예측과 적응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5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