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표현 검출·문맥에 맞는 퇴고 시스템 등으로 발전 가능성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바른(bareun.ai)’을 23일 온라인으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뉴스 데이터를 학습해 만든 형태소 분석 엔진이다. 옳다는 뜻의 ‘바른’과, 문장에서 형태소를 ‘발라낸다’는 의미에 착안해 바른으로 명명했다.
바른은 카카오(khaiii), 서울대(Kkma), 오픈소스(mecab) 등 타 기관의 형태소 분석기보다 모호성 평가, 지정사 복원 등에서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고 언론진흥재단은 설명했다.
언론진흥재단은 바른을 이용해 띄어쓰기나 맞춤법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조만간 서비스를 개시한다.
나아가 언론사들이 혐오 표현을 검출하거나 문맥에 맞게 퇴고를 하는 시스템을 자체 개발할 때 바른이 토대가 되는 등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저널리즘의 확산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바른의 개발을 위해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에 축적된 1990년∼2022년 8월 기사 7천800만 건을 토대로 1억 어절의 말뭉치를 학습시켰다.
또 개체명, 신조어, 복합명사 등 빅카인즈 언어 사전의 80만 단어와 국립국어원 ‘모두의 말뭉치’ 300만 어절, ‘세종 말뭉치’ 1천200만 어절을 추가했다.
바른은 언론계 인공지능 서비스 촉진과 데이터 저널리즘 확산을 목표로 언론진흥재단이 2021년부터 추진한 ‘언론사를 위한 언어정보 자원 개발’ 사업의 결과물이다.
개발 과정과 활용을 위한 안내는 바른 공식 홈페이지(https://bareun.ai)와 빅카인즈 깃허브(https://github.com/KPF-bigkinds)에 공개돼 있으며 모든 국민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쓰려면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언론사나 언론 관련 연구에는 무상으로 제공된다.
(12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성인 환자 3명 가운데 1명은 심혈관질환 증상이나 징후가 없더라도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감압점착제에 온도 반응성을 부여해 고온에서 쉽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일 밝혔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우리나라 성인의 중증 우울증 유병률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1일 나왔다.
환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양전자 단층 촬영(PET)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인공 세포 안에 유전질환 치료 물질을 담은 채 인체에 침투한 뒤 치료 물질을 인체 세포에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용 인공 바이러스 벡터(AVV)가 개발됐다. 미국 워싱턴DC 미국가톨릭대 베니갈라 라오 교수팀은 31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표면을 지질(lipid)로 감싼 박테리오파지 T4를 이용해 만든 인공 바이러스 벡터(T4-AAV)로 유전자 치료 물질을 인간 세포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는 자손을 빠르게 복제하고 조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물학적 기계라며 치료 물질을 전달하도록 프로그래밍한 인공 바이러스 벡터를 만들어 인체에 침투시키면 질병 치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만은 다양한 정신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내과 전문의 미하엘 로이트너 교수 연구팀이 전국 입원 치료 환자의 데이터세트(1997~2014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31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비만 진단 후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우울증, 니코틴 중독, 정신병증(psychosis), 불안장애, 식이장애(eating disorder),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등 광범위한 정신장애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정상 일대 날씨 변동이 극심해지면서 에베레스트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해로도 기록될 전망이라고 3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보도했다. 히말라야 등정 관련 기록을 정리하는 '히말라야 데이터베이스'와 네팔 당국에 따르면 올해 봄철 등반 시즌에 에베레스트 원정에 나선 산악인 가운데 17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날씨 변덕이 심해진 것이 사망자가 늘어난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