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양자 발전 이끈 스승과 제자, 피터 나이트 명예교수-김명식 교수 인터뷰
▲ 20일 주한영국대사관에서 만난 피터 나이트 영국 임페리얼컬리지런던 물리학과 명예교수. Ⓒ사이언스타임즈 권예슬
“1947년 미국의 벨 연구소에서 최초의 트랜지스터가 발명됐을 당시, 사람들은 트랜지스터를 도청기에만 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트랜지스터는 전자 혁명의 시초가 되어 세상을 바꿨죠. 양자 기술 분야도 혁명의 시초가 될 ‘양자 트랜지스터’를 찾고 있습니다.”
지난 20일 서울 중국 주한영국대사관에서 만난 피터 나이트 영국 임페리얼컬리지런던(ICL) 물리학과 명예교수는 “많은 이들이 ‘양자기술’이라고 하면 양자컴퓨터만을 떠올리지만, 사실 양자 기술은 우리가 직면한 모든 문제를 풀어내는 새로운 도구”라며 “다만, 양자 기술이 정확히 어떤 식으로 패러다임을 바꿀지는 아직 알 수 없어 장기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이트 명예교수는 약 30년간 영국 정부의 양자 관련 정책을 이끌어 온 양자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다. 영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 중 하나로 꼽히며, 2005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으로부터 양자 분야 연구 공헌을 인정받아 기사 작위를 받았다. 나이트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IBS)과 영국왕립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6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 참석차 방한했다.
▲ 20일 주한영국대사관에서 만난 영국 임페리얼컬리지런던 김명식 교수와 피터 나이트 명예교수. Ⓒ주한 영국대사관
나이트 명예교수는 올해로 9년 차에 돌입한 영국 ‘국가 양자기술프로그램’의 과학자문을 맡고 있다. 영국 정부는 양자 관련 연구 및 상업화, 인재 양성을 위해 10년간 총 10억 파운드(약 1조 6000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계획을 내세웠다. 그리고 최근에는 2024년부터 향후 10년간 25억 파운드(약 4조46억 원)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차원에서 양자 발전을 밀고 있는 이유가 있다. 우선, 10년이라는 장기적 관점에서 정부 차원의 투자가 진행되면 과학자들이 이 분야에 뛰어들게 할 동력이 된다. 동시에 국민 역시 이 분야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된다. 또한, 건실한 기업의 국외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나이트 명예교수는 “‘슈뢰딩거 고양이’ 실험으로 잘 알려진 에어빈 슈뢰딩거의 손자인 테리 루돌프 영국 ICL 교수는 2015년 영국이 아닌 미국에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인 ‘사이퀀텀’을 설립했다”며 “이런 유망한 기업을 자국으로 데려오려면 민관이 협력하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영국 국가 양자기술프로그램은 특정 큐비트를 달성하는 대신, 현재의 컴퓨터를 훌쩍 뛰어넘는 우월성을 갖춘 양자컴퓨터의 실현을 목표로 둔다. 우리 정부가 2031년까지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겠다고 구체적 목표를 밝힌 것과 달리 컴퓨터의 세대교체를 목표로 삼은 것이다.
▲ 김명식 영국 ICL 교수는 양자 컴퓨팅 분야의 대표적인 석학이다. Ⓒ사이언스타임즈 권예슬
함께 인터뷰를 진행한 김명식 영국 ICL 교수는 양자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국제 공동연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양자 기술은 방대한 지식을 다루는 분야로, 한 나라에서 모든 것을 완성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통신 등 기존 인프라와 새로 개발되는 양자컴퓨터가 호환되려면 ‘표준화’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도 연구 단계에서부터 국제교류를 하는 것이 득이 된다고 덧붙였다. 나이트 명예교수의 제자인 김 교수는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이다. 양자물리학 연구로 울프슨상, 호암상, 훔볼트상 등 굵직한 상을 휩쓸었다.
김 교수는 “과거에서 기초-응용-산업화로 이어지는 시간이 길었지만, 최근에는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시간이 굉장히 짧아졌다”며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기초연구를 활성화하고, 기업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보호해준다면 양자 기술이라는 새로운 산업에 많은 이들이 뛰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나이트 명예교수는 “영국은 튼튼한 양자 교육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고, 한국 역시 기초과학연구원(IBS) 등을 중심으로 기초연구력을 키워나가고 있다”며 “이번 콘퍼런스와 같이 양국이 교류할 수 있는 접점을 자주 만들고, 양국의 연구자 교류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공동 연구 활성화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삼성이나 LG처럼 기술력이 좋은 대기업도 한국이 가진 강점”이라고 덧붙였다.
▲ 스승과 제자이기도 한 두 양자 분야 석학은 양자 기술 상용화에 앞서 국민적 공감대 확보가 우선시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주한 영국대사관
두 교수는 튼튼한 기초연구와 국제교류에 앞서 가장 우선시돼야 할 과제는 국민의 공감을 확보하는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김 교수는 개인적인 경험담을 공유했다. 허리를 다쳐 대학병원에 입원했는데, 양자역학을 연구한다고 하니 의료진이 ‘양자역학 교수를 치료하게 됐다’며 좋아했던 경험이다.
김 교수는 “영국에는 브라이언 콕스, 짐 알칼리리 등 과학자이면서 양자역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훌륭한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이 있고, 이들은 모두 커뮤니케이션을 공로로 영국왕립학회의 회원이 됐다”며 “한국도 양자가 왜 재미있는지에 대해 연구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 나서려는 노력을 해야 하고, 이를 업적으로 인정해주는 시스템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가적 필요가 아닌 국민적 흥미를 얻은 연구가 세상을 바꾸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62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양자컴퓨터가 실현되려면 세계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거군요
양자 기술이 너무 방대해서 한 나라에서 모든 것을 완성시키기에는 너무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표준화를 목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여러 나라들이 같이 노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양자컴퓨터 실현을 위해서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나라의 힘으로 부족한 것처럼 이러한 양자컴퓨터 실현도 같이 해결해 나가야 하는 문제입니다.
그러니 양자컴퓨터를 실현해 나가기 위해서 여러 나라들이 각자 할 수 있는 일들을 해주고 서로서로 도와 양자컴퓨터의 표준화를 위해 더 많은 돈과 노력을 들이는 것은 어떨까요?
좋은 뉴스 감사합니다!
/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
위 조직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 세포로 전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웨일 코넬 의대(Weill Cornell Medicine) 치료적 장기 재생 연구소(Institute for Therapeutic Organ Regeneration)의 재생의학 전문의 조 주(Joe Zhou) 교수 연구팀이 위 조직에서 채취한 성체 줄기세포를 재프로그램(reprogram) 해 췌장의 인슐린 생산 베타세포와 매우 흡사한 세포로 분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9일 보도했다. 위 조직에 있는 특정 줄기세포에 췌장의 베타세포 생성 유전자 발현에 관계하는 3개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s)를 주입한 결과 베타세포의 기능을 수행하는 유사 베타세포로 전환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미세플라스틱 크기가 작을수록 체내에 더 쌓이고, 독성 또한 강해져 심장 기형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25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따르면 환경질환연구센터 정진영 박사 연구팀은 이 같은 사실과 함께 미세플라스틱과 발암물질이 결합해 복합적인 독성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0.2·1.0·1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 미세플라스틱과 발암물질의 하나인 벤조안트라센(BaA)을 제브라피시에 노출했고,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작을수록 심장 기형 유발 등 BaA의 독성 영향이 커지는 것을 확인했다.
40세 미만이라도 건강검진 때마다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는다면 갑상선암 발병 고위험군에 속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권혁상 교수와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2013년 국가건강검진을 4회 이상 받은 20~39세 120만4천646명을 대상으로 5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대사증후군 누적 진단이 많을수록 갑상선암 발병 위험도가 높아지는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29일 밝혔다. 갑상선암은 과잉 진단 논란이 있었던 2015년 이후 비슷한 검진율에도 불구하고 젊은 성인의 발생률은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
44억년 전 초기 지구에서 생명체 재료가 되는 탄화수소, 알데히드, 알코올 등 유기 분자들이 철이 풍부한 운석이나 화산재 입자들이 촉진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안정적이고 부작용이 적으면서 수술 후 전이·재발을 막을 새로운 형태의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한국연구재단은 울산대 진준오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서 얻은 표면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한 지질 나노입자(AiLNP)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