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에 대한 최대 규모의 연구 결과, 새로운 치료 대상이 될 수 있는 단백질과 생물학적 과정이 확인됐다.
미국 에모리의대 과학자들이 이끄는 협동연구팀은 미국 전역의 여러 연구센터에서 수집된 다수의 뇌와 뇌척수액 표본에서 3000개 이상의 단백질 발현 패턴 분석 및 수치 측정을 통해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단백질 네트워크 변화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 대사(glucose metabolism)를 조절하는 단백질 세트와 함께, 뇌를 지지하는 성상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보호 역할에 관련된 단백질들이 알츠하이머 병리 및 인지 손상과 강력하게 연관돼 있음을 시사한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약 개발 가속화 파트너십(Accelerating Medicines Partnership for Alzheimer ‘s Disease, AMP-AD)’의 일부로서,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 노화연구소(NIA)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는 의학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13일 자에 발표됐다.
NIA 원장인 리처드 호즈(Richard J. Hodes) 박사는 “이번 연구는 AMP-AD의 협동적인 개방형 과학 플랫폼이 알츠하이머병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창출해내는 파이프라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사례”라며, “여러 연구그룹이 생물학적 표본과 데이터 자원을 공유할 때 연구가 가속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 의의를 평가했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알츠하이머병은 의과학자들이 예방과 치료법 개발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차근차근 베일을 벗겨가고 있다. 동영상 캡처. ⓒ NIH
당 대사 및 항염증 반응 관련 단백질에 변화 생겨
미국 에모리대 의대 에릭 존슨(Erik C.B. Johnson) 박사와 니콜라스 세이프리드(Nicholas T. Seyfried) 박사 및 앨런 레비(Allan Levey) 박사, NIA 행동신경과학연구소 임상 및 중개 신경과학부 책임자인 마다브 탐비세티(Madhav Thambisetty) 박사를 비롯한 연구팀은 먼저 뇌에서 생물학적 과정을 반영하는 단백질 그룹(혹은 모듈)을 식별해 냈다.
이어 이 단백질 모듈이 알츠하이머 및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의 다양한 병리적, 임상적 특징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지 기능은 정상이지만 뇌 병리를 가진 개인들과 알츠하이머 환자 모두의 뇌 표본 신경교세포에서 당 대사 및 항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에 변화가 생긴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것이 신경세포를 보호하도록 설계된 항염증 과정이 질병에 반응해 활성화된 결과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인지 기능은 정상이지만 뇌 병리를 가진 개인들과 알츠하이머 환자 모두의 뇌 표본 신경교세포에서 당(glucose) 대사 및 항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에 변화가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뇌의 성상 세포와 미세신경교세포 그림. 동영상 캡처. ⓒ NIH
“당 대사 단백질 모듈, 위험 단백질들로 채워져”
연구팀은 또 뇌척수액에서 발견된 결과를 재생성해 보았다. 그 결과 뇌 조직과 마찬가지로 세포가 포도당에서 에너지를 추출하는 방식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이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척수액에서는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 단백질 가운데 많은 수는 또한 잠복성 알츠하이머병 환자, 예를 들면 인지 저하 증상은 없으나 뇌 병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것은 당 대사/신경교(glial) 단백질 모듈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단백질들로 채워져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이런 단백질족에 의해 반영되는 생물학적 과정들이 실제적인 질병 과정에 관여돼 있음을 시사한다.
탐비세티 박사는 “우리는 뇌가 당을 비정상적으로 대사시키는 잘못된 방식과 알츠하이머병 관련 변화 사이의 연계성에 대해 연구해 왔다”고 말하고, “최근의 분석에 따르면 이 단백질들은 또한 초기 단계에서 병을 탐지해 내는 유동 생체표지자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 동영상 캡처. ⓒ NIH
이번 연구 자료, AD 지식 포털에서 활용 가능
이전 연구에서 탐비세티 박사팀은 에모리대 연구진과의 협력을 통해 뇌가 포도당을 분해하는 방식이 비정상적일수록, 기억에 문제가 나타나는 증상 시작을 포함해 특징적인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엉킴의 양이 많아진다는 연관성을 발견한 바 있다.
AMP-AD 표적 발견 프로그램을 감독하는 NIA의 프로그램 디렉터인 수자나 페탄체스카(Suzana Petanceska) 박사는 “이번의 대규모 비교 단백질학 연구는 알츠하이머병의 수많은 생물학적 과정에 걸쳐 있는 대규모 변화들을 지적해 내는 한편, 질병 과정에서 뇌 에너지 대사의 역할과 신경 염증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연구에서 나온 데이터와 분석 자료는 이미 연구 커뮤니티에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됐고, 알츠하이머 치료와 예방을 위한 새로운 표적을 찾아낼 수 있는 풍부한 원천으로 사용되거나, 유동 생체표지자 개발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연구 자료들은 AMP-AD 표적 발견 프로그램의 데이터 저장소인 AD 지식 포털(AD Knowledge Portal)이나, NIA 지원 아래 공개 과학 원칙에 따라 운영되는 다른 팀-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활용할 수 있다.
(323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