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고 예방접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유망한 방법이 영국과 독일 과학자 팀에 의해 개발됐다.
영국 레스터(Leicester)대와 독일 괴팅겐대 의료원 및 영국 자선 의학연구단체 라이프아크(LifeArc) 연구팀은, 항체 기반 치료제와 단백질 기반 백신을 만들어 이를 생쥐 모델에 적용한 결과 증상을 감소시켰다고 ‘분자 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 15일 자에 발표했다.
이번에 개발된 항체와 백신은 일반적으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뇌에 쌓인 플라크의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독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는 다른 용해성 단백질을 타겟으로 했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돼 동물실험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는 연구가 나왔다. 위 그림은 정상인의 뇌와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 부위 비교. © WikiCommons / Garrondo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항체 확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은 용액에서 자연적으로 매우 유연하고 끈과 같은 분자로 존재한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이런 끈 모양의 분자들 상당수가 짧아지거나 끝이 잘린 절단 형태가 되며(truncated), 일부 과학자들은 이런 형태가 알츠하이머병 발생과 진행의 핵심으로 생각하고 있다.
괴팅겐대 의료원 토마스 베이어(Thomas Bayer) 교수는 “임상시험에서 뇌의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용해시키는 어떤 잠재적인 치료법도 알츠하이머 증상을 줄이는데 그리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일부 사례에서는 부작용까지 나타났다”고 말하고, “우리는 다른 접근방식을 택해 실험용 생쥐에서 절단된 용해성 아밀로이드 베타를 중화시키면서 정상적인 형태의 단백질이나 플라크에는 결합하지 않는 항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라이프아크의 프리티 바크라니아(Preeti Bakrania) 박사팀은 이 항체를 조정해 인체 면역계가 이를 이물질로 인식하지 않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했다.
레스터대 연구그룹은 TAP01_04로 명명된 이 ‘인간화된(humanised)’ 항체가 절단된 형태의 아밀로이드 베타와 결합하는 방법과 위치를 조사하고는 놀랐다고 말했다. 이들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머리핀 모양의 구조로 접혀 있는 모습을 보았다.
효소가 APP(아밀로이드-베타 전구체 단백질)에 작용해 조각으로 잘라지는 모습. 아밀로이드 베타 단편들은 알츠하이머병 발생과 진행의 핵심으로 생각되고 있다. © WikiCommons / ADEAR
가공된 아밀로이드 베타를 백신으로 활용
레스터대 구조 및 화학생물학 연구소 마크 카(Mark Carr) 교수는 “이런 구조는 이전에 아밀로이드 베타에서는 볼 수 없었다”며, “이런 명확한 구조를 발견함으로써 연구팀은 단백질의 이 영역을 가공해 머리핀 모양을 안정화시키고 동일한 방식으로 항체에 결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아이디어는 이 가공된 형태의 아밀로이드 베타가 백신으로 활용돼 사람의 면역체계가 TAP01_04 유형의 항체 생성을 촉발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이 생쥐를 대상으로 가공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테스트한 결과, 이 ‘백신’을 투여받은 생쥐는 TAP01 유형의 항체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괴팅겐대 그룹은 알츠하이머병의 두 가지 다른 생쥐 모델에서 ‘인간화된’ 항체와 TAPAS라고 명명한 가공된 아밀로이드 베타 백신을 모두 테스트했다.
연구팀은 사람에게서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한 영상 기술을 기반으로, 항체와 백신 모두 뉴런 기능을 회복하고 뇌의 포도당 대사를 증가시키며 기억 상실을 회복하는 한편, 직접적인 목표는 아니었으나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형성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분자 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 11월 15일 자에 실린 논문. © SPRINGER NATURE / Molecular Psychiatry
기억 상실 회복,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형성도 감소시켜
라이프아크의 바크라니아 박사는 “TAP01_04 인간화 항체와 TAPAS 백신은 다른 형태의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전에 임상시험을 거친 알츠하이머 항체나 백신과는 매우 다르다”고 설명하고, “이런 점을 볼 때 이번에 개발된 항체와 백신은 실제로 매우 유망한 치료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의 결과는 매우 가슴 설레는 것으로 연구팀의 과학적 전문성을 나타내는 증거이기도 하다’며, “치료가 성공한다면 많은 환자들의 삶을 바꾸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크 카 교수는 “이번 연구가 아직은 초기 단계지만 연구 결과들이 인체 임상시험에서 그대로 재현된다면 혁신적인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단 증상이 감지되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예방 접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현재 치료 항체와 백신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상업적 파트너를 찾고 있다.
(311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인공 세포 안에 유전질환 치료 물질을 담은 채 인체에 침투한 뒤 치료 물질을 인체 세포에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용 인공 바이러스 벡터(AVV)가 개발됐다. 미국 워싱턴DC 미국가톨릭대 베니갈라 라오 교수팀은 31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표면을 지질(lipid)로 감싼 박테리오파지 T4를 이용해 만든 인공 바이러스 벡터(T4-AAV)로 유전자 치료 물질을 인간 세포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는 자손을 빠르게 복제하고 조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물학적 기계라며 치료 물질을 전달하도록 프로그래밍한 인공 바이러스 벡터를 만들어 인체에 침투시키면 질병 치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만은 다양한 정신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내과 전문의 미하엘 로이트너 교수 연구팀이 전국 입원 치료 환자의 데이터세트(1997~2014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31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비만 진단 후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우울증, 니코틴 중독, 정신병증(psychosis), 불안장애, 식이장애(eating disorder),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등 광범위한 정신장애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정상 일대 날씨 변동이 극심해지면서 에베레스트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해로도 기록될 전망이라고 3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보도했다. 히말라야 등정 관련 기록을 정리하는 '히말라야 데이터베이스'와 네팔 당국에 따르면 올해 봄철 등반 시즌에 에베레스트 원정에 나선 산악인 가운데 17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날씨 변덕이 심해진 것이 사망자가 늘어난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아동·청소년 대다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고 학교로 돌아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일게이트의 공익·교육사업 법인 퓨처랩은 '월드 라지스트 레슨'(WLL)과 함께한 '도래한 미래, 우리가 바라는 교육' 캠페인 일환으로 시행한 설문 결과를 31일 공개했다. 따르면 한국 학생의 65%(세계 학생 77%)는 코로나19로 인한 휴교 이후 '학교로 돌아가는 것이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초고성능 양자컴퓨터 시대에 쓰일 수 있는 '3D 광양자 메모리' 원천 기술을 국내·외 공동연구진이 개발했다. 1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UNIST 화학과 서영덕 교수팀과 미국 컬럼비아대, 미국 버클리 연구소,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연구원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무제한 지속 가능한 '나노결정 양방향 광스위치' 현상과 원리를 발견해 3D 광양자 메모리 분야 세계 최고 정밀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논문은 이날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