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이슬기 객원기자
2013-04-24

아침형 인간, 더 건강하고 현명하다? 아침형 인간이 항상 유리하지는 않아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동서양의 속담에 따르면, 일찍 일어나는 습관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건강하고 부유해지며, 현명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중국에는 '일찌감치 눈을 붙이고 일찌감치 일어나 건강하라'는 속담이 있으며, 영미권에서는 'The early bird catches the worm'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 사이쇼 히로시(稅所弘), '인생을 두 배로 사는 아침형 인간', 2003
아침형 인간이라는 말은 2003년 10월 일본 의사인 사이쇼 히로시(稅所弘)가 쓴 책 '인생을 두 배로 사는 아침형 인간'이라는 책이 출간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 책에 따르면 아침형 인간은 자연의 리듬에 따라 생활하게 되는 사람이며, 아침의 1시간은 낮의 3시간과 맞먹는다고 한다.

애초에 인간은 일출과 동시에 일어나고 일몰과 동시에 잠자리에 드는 생활을 하였으나, 지난 100년간 문명이 발달하면서 밤 시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신체의 리듬이 깨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침형 인간은 단순히 이른 아침에 일어나는 사람뿐만 아니라 하루 일과를 일찍 시작하여 아침 시간을 활용함으로써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아침형 인간이 항상 유리하지는 않아

그러나 최근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사람들이 항상 유리하지만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바로 스페인 마드리드 대학의 전문가들의 연구결과가 그것. 이 대학의 전문가들은 10대 청소년 약 1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빼미형 인간이 여러 방면에서 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연구를 진행한 전문가들은 연구 대상 젊은이들이 올빼미형인지 아니면 종달새형인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하루 중 특정 시간에 잠을 자야 하는 등의 신체적 현상을 관장하는 몸의 기능인 체내시계와 습성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의 학교 성적과 지능, 또는 문제 해결능력을 측정하였고 주요 과목의 학점도 함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저녁형 인간이 일반 지능과 학업 성적의 유용한 척도인 귀납적 추론 능력에서 아침형 인간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저녁형 인간은 더 좋은 직업 및 더 높은 수입과 연관되는 분석적이고 개혁적인 사고 능력도 아침형 인간보다 더 탁월했다고 발표하였다.

물론 저녁형 인간의 경우, 학교 성적은 아침형 인간에 비해 8%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보통 학교 일정은 아침에 맞춰 진행되기 때문에 올빼미형 인간은 그만큼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하였다. 하지만 몇몇 사례에서 관찰된 것을 토대로 일반 원리를 생성하는 귀납 추리 능력은 저녁형 인간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밤늦게까지 잠을 자지 않는 올빼미형 인간이 좋은 직업이나 고소득과 연관된 지능면에서 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아침 일찍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는 아침형 인간보다는 대체적으로 명석하고 부자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창조적 직업군에 많은 올빼미형 인간

가정의학과 차경옥 전문의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찰스 다윈, 윈스턴 처칠과 엘비스 프레슬리 등은 유명한 저녁형 인간인데, 저녁형 인간은 시인이나 예술가, 발명가 등 외향성 창조적 직업군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고 하였다. 또한 "저녁형 인간은 사회성이 좋고 인간 중심적인 성향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차 전문의는 "특히 저녁형 인간이 가지고 있는 뛰어난 귀납추리 능력은 혁신적인 아이디어 및 일류 직업과 연관이 있다"며 "이는 곧 고소득으로 이어지는 만큼 저녁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보다 더 많은 수입을 올리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더불어 "저녁형 인간이 되는 이유는 개인의 생활패턴이나 생체리듬의 차이도 있겠지만 유전학적 돌연변이로 인해 저녁형 인간이 되는 경우도 있다"며 "Fbxl3이라는 유전자의 변종이 신체의 대사 작용과 소화, 수면 패턴 등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생체시계와는 무관하게 작용하면서 저녁형 인간이 되어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논리적인 일을 잘하는 아침형 인간

차경옥 전문의는 "아침형 인간이 성공한다는 사회적 믿음은 아침형 인간이 남는 아침시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아이디어를 내고, 평소에 하기 어려운 일들을 하면서 더 규모있는 시간을 보내기 때문이다"라며 "특히 아침에는 집중력과 창의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은 시간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아침시간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다"라고 하였다.

차 전문의는 "특히 사회적으로 성공한 기업 CEO들의 생활 유형이 아침형 인간에 부합한다는 사례가 발표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하지만 개인의 체질을 무시한 채 성공만을 위한 행동 지침으로 강요되고 있다는 반론도 있어 무작정 따라하기보다는 개인의 체질에 맞추어 생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콘돌리자 라이스 전 미국 국무장관이나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모두 아침형 인간이었는데, 아침형 인간에는 공무원이나 회계사 등 논리적인 일을 잘 할 수 있는 직업군의 사람들이 많았다"며 "자신의 절제나 큰 결심 없이는 생체리듬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다"라고 하였다.

인간은 각자 다른 생체리듬을 가지고 있다. 그에 맞추어 생활해야 하는데 그럼에도 아침형 인간이 되고자 한다면 일순간에 노력하여 바꿀 수는 없다. 인간의 생체리듬은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서서히 기상시간을 앞당기면서 아침 햇빛을 많이 쬐다보면 큰 무리 없이 생체리듬을 아침형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조언이다.
이슬기 객원기자
justice0527@daum.net
저작권자 2013-04-24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