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호기심을 주변의 사물을 이용해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우리 아이 첫 과학책’은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대화와 놀이로 과학을 만나게 하는 특별한 책이다. ⓒ게티이미지
성장하면서 점차 주변의 여러 현상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늘어나는 아이들. 만 5세부터 7세 사이의 아이는 특히 호기심이 왕성하여 질문도 부쩍 늘어난다. 본격적인 과학 수업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지만, 아이는 이미 그전에도 과학과 만나고 있다. 주변의 모든 사물과 그 사물의 변화와 관계를 알아 가는 모든 일이 과학이기 때문이다.
아이의 호기심을 주변의 사물을 이용해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우리 아이 첫 과학책’은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대화와 놀이로 과학을 만나게 하는 특별한 책이다.
이 책은 자석을 이용해 냉장고에 사진을 붙인 일, 나를 따라다니는 그림자를 인지한 일, 쓴 약을 먹을 때 코를 잡으면 맛이 덜 느껴졌던 일 등등 일상에서 만나는 아이의 아주 사소한 호기심을 이 책과 함께 과학으로 연결해볼 수 있다. 책을 통해 일상과 과학을 연결시키면서 아이의 사고력과 창의력이 폭발하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과학은 머리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두뇌, 신체, 감각, 감성을 모두 자극해야 쉽고 재미있게 과학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가 그간 흔히 접한 것처럼 과학을 생물, 화학, 지구 과학, 물리로 나누지 않는다. 유아에게는 영역별로 지식을 익히는 것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과학을 통해 바라보는 일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저자는 과학을 다양하게 풀어냈다.
특히, 과학을 어렵게만 생각했던 부모세대에게는 선입견을 떨치고 아이와 즐거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하루 한 두장씩 자기 전에 이야기하기에도 부담이 없고, 아이 혼자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대부분이 대화체로 서술되어 있다. 아이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이야깃거리부터 시작해, 아이에게 질문을 던지고, 친절한 과학 설명이 이어진다. 또 이 설명을 통해 여러가지 놀이 활동을 할 수 있다.
아이는 책을 통해 주위에서 과학을 찾아보고, 과학 정보를 더 담아 한 발 더 알아보고, 간단한 실험을 통해 따라해보면서 과학과 좀 더 친밀해질 수 있다.
ⓒ뜨인돌어린이
한양대학교 교수이자, 어린이 청소년 과학 실험 전문가인 저자는 이 책에서 다양한 과학 원리를 ‘머리가 좋아지는 과학’ ‘몸이 튼튼해지는 과학’ ‘감각이 발달하는 과학’ ‘마음이 따뜻해지는 과학’으로 소개하고 있다.
머리뿐 아니라 온몸과 오감, 감성으로 과학을 만날 수 있도록 세심하고 참신하게 구성한 것이다. 딱딱하고 차가운 과학이 아니라 몸을 활용하고, 환경, 빈곤, 생명 등 함께 사는 사회까지 생각하는 따뜻한 과학을 책을 통해 만나 볼 수 있다.
책을 읽으며 아이는 열린 마음으로 즐겁게 과학을 받아들이고 과학의 기본인 ‘탐구하는 습관’을 익히게 될 것이며, 이러한 탐구 능력은 학교생활에서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80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