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도핑 파문을 일으킨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 카밀라 발리예바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발리예바는 자국 러시아로부터 훈장 중 가장 높은 등급인 ‘우호 훈장’을 받았다.
또한, 국제빙상경기연맹(ISU)으로부터 러시아 선수들의 국제대회 출전을 금지하는 징계안을 받아 이달 3월 말에 있을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할 수 없게 됐다. 출전 금지 징계안은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포함된다. 한편 발리예바는 지난해 12월에 채취한 도핑 샘플에서 금지 약물 중 하나인 ‘트리메타지딘’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게티이미지뱅크
도핑이란 무엇인가
도핑이란, 운동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심장 흥분제 등의 약물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국도핑방지규정(2021)에 따르면 금지목록은 향후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할 수 있는 잠재력 또는 은폐 가능성으로 인해 도핑으로 상시 금지되는 금지약물 및 금지방법과 경기 기간 중 금지약물 및 금지방법 등으로 구분된다.
금지약물은 상시 금지약물, 경기 기간 중 금지약물, 특정 종목 금지약물로 구분된다. 상시 금지약물로는 ‘동화작용제, 펩티드호르몬, 베타-2 작용제, 호르몬 및 대사변조제, 이뇨제 및 은폐제 등’이 해당한다. 경기 기간 중 금지약물로 앞선 상시 금지약물들과 더불어 ‘흥분제, 마약, 카나비노이드 등’이 포함된다.
금지약물과 금지방법의 이외에도 WADA-Code(세계도핑방지규약)에 명시된 도핑방지규정위반 사항으로는 시료 채취 거부, 소재지 정보 미기재, 도핑관리과정을 방해하는 행위, 금지약물 또는 금지방법의 소지, 금지약물 또는 금지방법의 부정거래 또는 시도 등이 있다.(류현지, 서상훈, 「도핑방지를 위한 경기력 분석의 중요성」, 2020 참조)
발리예바의 ‘트리메타지딘’
한편, 발리예바의 도핑 샘플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금지 약물은 ‘트리메타지딘’이다.
트리메타지딘은 협심증 치료제로 작용기전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허혈성 심장에 대한 보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협심증 약물인 트리메타지딘은 심장으로 가는 혈류의 양을 증가시켜 혈압의 급격한 변동을 막을 수 있다. 이는 일정 시간 높은 지구력과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야 할 스케이팅에 도움을 준다.
우리 몸은 운동 시 혈압과 심장박동이 상승해 산소 공급의 증가가 필요하다. 이에 트리메타지딘을 복용하면 혈류량의 증가로 체내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기에 지구력을 높이고, 오랜 시간 자신의 역량을 발휘해 좋은 기록을 낼 수 있게 도와준다.
ⓒ게티이미지뱅크
스포츠는 공정하게, 도핑은 규정으로
도핑은 매년 진화한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도핑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세계도핑방지규약(2021)에 따르면, WADA(세계도핑기구)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적어도 연간 1회 이상 금지목록을 국제표준으로 공표한다고 한다. 제안된 금지목록의 내용과 개정사항은 모두 서면으로 즉시 모든 가맹기구와 정부에 제공해 의견 수렴을 받는다.
이처럼 도핑검사방법 및 시스템은 꾸준히 발달하고 새로워지지만, 이에 맞춰 선수들의 도핑 방법 및 시도도 새로워지고 있다는 것이 실정이다. 스포츠 못지않게 도핑도 오랜 역사를 가진다. 스포츠에서의 공정성은 반드시 지켜야 하며, 도핑은 근절돼야 한다. 도핑을 근절할 새로운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
(175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잉여 영양분을 세포 안에 축적해 살이 찌게 하는 '백색 지방세포'를 영양분을 태워 없애는 '갈색 지방세포'로 바꾸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고명곤 교수팀이 전북대 안정은 교수팀과 공동으로 TET(Ten-eleven translocation) 단백질을 억제하면 백색 지방세포가 갈색 지방세포화 되고, 기존 갈색 지방세포는 더 활성화돼 열량 소비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는 말처럼 몸에서 나는 냄새가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알아보고 친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과학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친구를 맺은 사람들이 낯선 사람들보다 체취가 비슷할 가능성이 높으며, 냄새 판별 기기인 전자코(eNose)를 통해 체취를 확인하면 서로 낯선 두 사람이 친구가 될 수 있는지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케미가 맞는다'라는 말을 많이 해왔는데 실제로 후각 차원에서 화학(chemistry)이 작용하는 셈이다.
기후변화로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짙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기후변화와 오존을 주제로 한 현안 보고서를 27일 홈페이지(www.nier.go.kr)에 공개한다. 보고서는 그간 나온 국내외 논문·통계자료·기사 등을 종합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평균 오존 농도는 1989년 0.011ppm에서 2020년 0.03ppm으로 상승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 Net)으로 누리호 탑재 위성들을 포착했다고 24일 밝혔다. 누리호가 성능검증 위성과 더미 위성을 궤도에 무사히 올려놓은 것을 확인한 것이다. 천문연은 누리호 발사 당일인 지난 21일 오후 8시 20분부터 모로코에 있는 OWL Net 2호기로 추적을 시작해 22일 낮 12시 52분 3초와 오후 1시 3분 26초 사이에 발사체 3단과 더미 위성을 관측했다.
노화는 인간을 비롯해 모든 동물의 피할 수 없는 운명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장수'의 상징이 돼온 일부 거북 종은 놀라울 정도로 적은 노화 현상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는 최신호에서 이런 증거를 제시한 두 편의 논문을 나란히 다뤘다.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등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 생태학 부교수 데이비드 밀러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거북은 물론 양서류와 뱀, 악어 등을 포함한 사지 냉혈동물 77종의 노화와 수명을 비교했다.
유방암은 흔한 암 유형 가운데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는 사람이 약 230만 명에 달한다. 유방암도 초기에 찾아내면 대체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다른 부위로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되면 훨씬 더 치료하기 어렵다. 암의 전이는, 원발 암에서 떨어져 나온 '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CTCs)가 혈류를 타고 다른 기관으로 이동해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화성 탐사 후발주자인 중국이 미국보다 2년 앞서 화성 암석시료를 지구로 가져올 것이라고 중국 우주탐사 관계자가 밝혔다. UPI 통신과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의 화성탐사 미션 '톈원(天問)1'을 설계한 쑨쯔어저우 연구원은 지난 20일 난징대학 개교 120주년 세미나에 참석해 우주선 두 대를 활용해 화성 암석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는 '톈원3호' 계획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