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지속가능한 농생명 산업을 육성하고자 대선 공약으로 제안한 ‘스마트팜 혁신 밸리’가 김제시에 둥지를 틀었다.
전북도는 29일 김제시 백구면 월봉리 스마트팜 혁신 밸리에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송하진 도지사, 박준배 김제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준공식을 했다.
스마트팜 혁신 밸리는 전북도가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청년이 찾아오는 스마트팜 혁신 밸리’를 대선 공약으로 제안하면서 사업이 시작됐다.
부지 면적은 21.3㏊로 축구장 면적의 30배에 달한다.
혁신 밸리에는 창업보육 실습농장 2.3㏊를 비롯해 임대형 스마트팜 4.5㏊, 스마트팜 실증 온실 1.6㏊, 지원센터 등이 들어섰다.
혁신 밸리는 스마트팜 창업보육과 임대 운영, 스마트팜 실증연구, 빅데이터 수집·분석 등을 맡는다.
스마트팜 창업보육은 입문 교육 2개월, 교육형 실습 6개월, 경영형 실습 12개월 등 총 20개월 과정으로 매년 50여 명을 선발한다.
교육 수료 우수생에게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3년간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한다.
전북도는 스마트팜 실증 온실과 빅데이터 센터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 등을 개발·보급하고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디지털 농업의 초석을 마련할 계획이다.
송하진 전북지사는 “스마트팜 혁신 밸리가 전북이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로 가는 길을 탄탄히 다져줄 것으로 확신한다”며 “청년창업 생태계 조성과 농생명 산업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24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은 혈액·소변을 이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소변·혈액 생체시료에는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바이오마커(생체 지표)가 포함돼 있어 이를 분석하면 질병 여부를 알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질병과 관련이 있는 바이오마커를 분리·정제해야 하나 현재는 대형 의료시설이나 실험실에서 샘플을 분석해야 해 시간·비용이 많이 든다.
대한민국의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로 '인공지능'(AI) 이 선정됐다. 특허청은 발명의 날(5월 19일)을 앞두고 국민이 뽑은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10대 발명 기술'을 18일 발표했다. 인공지능 기술에 이어 2위는 로봇, 3위는 미래차가 차지했으며 수소(4위), 에너지(5위) 등이 뒤를 이었다.
라오스 고대 동굴서 화석 인류인 데니소바인 소녀에게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어금니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네안데르탈인의 사촌 격인 데니소바인은 화석이 드문데다 동남아 열대 지역 거주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호주 플린더스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코펜하겐대학 고인류학자 파브리세 데메테르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라오스 북동부 안남산맥의 석회암 동굴 '탐 은구 하오(Tam Ngu Hao) 2'에서 발굴한 어금니 화석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