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이 최대 1.5㎞에 달하는 거대한 소행성이 22일 새벽 지구에 가까이 접근하지만, 충돌 위험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소행성 ‘136795’(1997 BQ)가 초당 11.68㎞의 속도로 이튿날 오전 6시45분(한국 시각)께 지구에 근접한다.
이 소행성은 ‘지구 위협 소행성'(PHA·지구 가까이에 접근하는 궤도를 갖는 근지구 소행성) 중 지구 최접근 거리가 0.05AU(천문단위) 이내인 지름 140m 이상의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지구와 가장 가까울 때 거리가 615만㎞(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16배)에 달해 지구와 충돌할 위험은 없다.
현재까지 발견된 근지구 소행성은 2만2천811개이며, 이 가운데 소행성 ‘136795’와 같은 지구 위협 소행성은 2천84개에 달한다.
천문연 관계자는 “소행성의 지구충돌 위험에 대해 상시 모니터링하는 등 우주 위험 감시연구를 하고 있다”며 “이번 소행성은 남반구에서만 관측 가능해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고 말했다.
(24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뇌에 특정 장소에 대한 장기기억이 형성될 때 지형지물의 많고 적음 같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기억이 형성되는 방식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관찰할 수 있는 액상 전자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마약류·총기 등 사회 안전에 해를 끼치는 물품의 밀반입을 막기 위한 기술개발에 정부 부처가 힘을 모은다.
정부가 신소재를 사용한 무선 부품인 'X-밴드 질화갈륨(GaN) 반도체 집적회로(MMIC)'의 국산화를 추진한다.
개인의 유전자에 따라 장내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북도, 새만금개발청, 군산시는 19일 전북도청에서 5개 기업과 '새만금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협약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방세 감면, 보조금 우대 등의 혜택을 주는 '에너지특화기업' 지정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