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석상일 교수팀, 26.08% 효율 달성…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도 공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태양전지 제조에 활용,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16일(현지시간) 공개됐다.
17일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석상일 특훈교수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 반도체의 결정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과 원리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원리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에 활용해 세계 최고 효율인 26.08%를 달성했다.
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에서도 세계 최고 효율인 25.73%로 공인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결정성 반도체를 박막으로 코팅해 제조한다.
고효율화를 위해서는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결정 속 결함을 극도로 낮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결함은 태양전지의 장기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결정화하는 단계에서 내부 결함을 더욱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번 연구를 통해 박막 결정화 단계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
연구팀은 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물질에 일정량 도입해 광학적으로 활성인 구조로의 결정상의 전이와 결정화 과정을 조정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를 가능하게 했다.
석상일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성 성분과 결합하면서 결정화가 이뤄지는 단계에 탈양자화가 일어나는 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사용했다”며 “이런 최적의 조합이 이번 연구 결과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또 “알칼기와의 조합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전구체 용액의 코팅과 열처리 과정에서 용매와 함께 휘발되는 속도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며 “이 조합을 통해 박막의 표면을 극도로 평탄하게 하면서도 치밀하고 결정의 내부 결함을 최소화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제조가 가능했다”고 덧붙였다.
석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을 조만간 능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27% 이상의 효율을 달성하기 위한 여정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석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20% 효율을 처음 넘겼으며, 세계 최고 공인 효율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이종접합 n-i-p 태양전지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발표했고, 지금도 25% 이상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모두 이 구조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얇고 가볍고 유연하며, 용액 공정으로 값싸게 만들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로 꼽힌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리더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100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