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민간 중·소형 건축공사장과 노후·위험 건축물에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한 '스마트 안전관리'를 도입한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AI로 공사장 CCTV를 분석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현장 관리자에게 경보를 보내는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민간 중·소형 건축공사장 100여 곳에 내년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건설 현장 사고 주원인인 현장 작업자의 안전모·안전고리 미착용 등을 AI 딥러닝으로 가려냄으로써 사고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민간 노후·위험 건축물에는 기울기나 균열 등 위험 요소를 자동으로 감지해 알려주는 IoT 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을 올해 말부터 적용한다.
시는 또 시내 민간 건축공사장과 노후·위험 건축물을 종합 관리하는 '안전관리 통합 정보화 시스템'을 내년 4월 구축할 계획이다. 기관별로 보유한 안전 정보를 통합해 체계화하는 시스템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실장은 "건축 노후화가 심화하고 도심지 내 공사장 사고가 끊이지 않아 대책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혁신 기술을 건축 행정에 접목하겠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1-09-1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