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0-07 ⓒ ScienceTimes 태그(Tag) #BLT궤도 #KPLO #WSB궤도 #다누리 #달 #연구재단 #연구정보중앙센터 #위상전이궤도 #직접전이궤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련기사 "달 일부 지역 암석의 강한 자기장은 소행성 충돌 흔적" 달에는 자기장이 없지만 뒷면 등 일부 지역 암석에는 강한 자기 흔적이 남아있다. 이는 과거 대형 소행성 충돌로 생성된 플라스마가 일시적으로 자기장을 증폭시켜 그 흔적이 암석에 남은 것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달 최대 충돌 지형인 임브리움 분지(Imbrium basin). NASA 루시 탐사선(Lucy)이 2022년 10월 16일 촬영 우주 패권의 새로운 전장, 달 달 남극에 들어설 원자력 발전소와 국제 달 연구기지 인류가 처음 달에 발을 디딘 지 반세기가 넘은 지금 새로운 '달 점령 전쟁'이 펼쳐지고 있다. 이번에는 단순한 탐사나 깃발 꽂기가 아닌 원자력 발전소를 통해 영구적인 거점을 구축하려는 야심 찬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가 손을 잡고 2035년까지 달에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겠 "달 앞면과 뒷면 쪽 내부 구조도 달라…비대칭성 증거 발견" 항상 지구를 향하고 있는 달의 앞면과 반대편 뒷면의 지형은 매우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차이가 내부 물질의 온도와 분포가 앞쪽과 뒤쪽이 다른 비대칭성에서 비롯됐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달 내부 비대칭 구조 진화 과정 개념 모델. 약 40억년 전(왼쪽) 달 앞면(Nearside) 내부의 열 이상(thermal anomaly)으 달 탐사선 다누리로 극지 물 분포 지도 만들었다 지질연의 우주자원 탐사 모식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 탑재체를 이용해 달 극지의 물 분포 지도를 만들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김경자 박사 연구팀이 지난 2년 동안 다누리에 실린 감마선분광기KGRS)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물 분포 지도를 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감 2025년, 우리가 주목할 만한 우주 과학 탐사와 이벤트들은? 더욱 흥미 진진한 2025년의 우주 과학 및 탐사 2024년의 우주 과학과 탐사 분야는 실로 놀라운 발전을 이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서 은하의 크기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유럽의 차세대 주력 로켓인 아리안 6호의 성공적인 개발, 그리고 장기 우주 체류가 우주인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등 매우 중요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2) ⓒ사이언스타임즈 ‘누리호’, 이제 우리도 대한민국만의 기술을! 누리호(KSLV-II)는 대한민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된 우주 발사체로, 한국의 우주 개발 역량을 상징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특히, 내년 예정된 누리호의 4차 발사는 보다 발전된 기술과 목표를 담고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2021년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1) ⓒ사이언스타임즈 나로호, 누리호, 그리고 다누리… 대한민국 우주 개발의 이정표로 자리매김 대한민국 우주 개발 역사에는 비슷한 이름을 가진 세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나로호(KSLV-I)」, 「누리호(KSLV-II)」, 그리고 「다누리(달 궤도선)」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이들은 각기 다른 목적과 의미 충돌이냐 동결이냐…달 탐사선 다누리 마지막 운명 내달 결정 2022년 8월 발사한 달 궤도선 다누리 본체 ⓒ과기정통부 제공 충돌이냐, 동결이냐. 우리나라 첫 달 탐사선 다누리의 마지막 운명이 이르면 다음 달 결정된다. 김은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3회 위성전파 및 위성통신 기술 콘퍼런스에서 다누리의 임무 종료 전 처분 기동에 필요한 궤도를 올해 내로 결정할 세계 최초의 목재 위성이 우주로 발사되다 혁신적인 목재 위성의 탄생 일본의 한 연구진들은 언젠가 인류가 화성에 정착하여 집을 짓는 데에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고 굳게 믿고 있다. 이들은 이러한 기상천외한 생각을 바탕으로 목재로 만든 위성을 개발했다. 나사나 접착제 없이 호노키 나무(honoki: 목련 나무의 일종으로 일본에서 자생함)로 제작한 이 위성은 인류의 우주 개발 역사에서 새로운 장을 열 화성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액체상태의 물과 실망하는 일론머스크? 화성의 지각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액체, 물 과학자들은 화성의 암석 외피 깊숙한 곳에서 액체 저장소를 발견했다. 이번 발견은 2018년에 화성에 착륙한 NASA의 인사이트(InSight) 탐사선의 데이터를 새로운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기후변화·서식지 파괴로 100년 내 조류 500여종 멸종 위기"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