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관측된 감마선 폭발(gamma-ray burst, GRB)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기구(ESA)의 허블 우주망원경 관측 연구 결과 지금까지 관측된 것 가운데 가장 큰 에너지를 방출한 폭발인 것으로 밝혀졌다.
GRB 190114C로 명명된 이 감마선 폭발에서 검출된 일부 빛은 관측 사상 가장 높은 에너지인 1테라전자볼트(TeV)로 확인됐다. 이 에너지는 가시광선보다 광자(photon) 당 에너지가 1조 배나 높은 양이다.
일반 감마선 폭발 때 나오는 에너지는 태양이 100억 년 동안 방출할 수 있는 양을 불과 수초 동안에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 은하 안에서 감마선 폭발이 일어났을 때 이 에너지 방출 축이 지구를 똑바로 향하고 있으면 지구에 대량 멸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설도 있다.
GRB 190114C에서 숫자는 2019년 1월 14일의 세 번째 관측이라는 의미로, 이 감마선 폭발에 대한 연구는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20일자와 ‘천문과 우주물리학’(Astronomy and Astrophysics) 20일 자에 동시 게재됐다.
허블우주망원경의 새로운 관측 연구를 통해 강력한 감마선 폭발인 GRB 190114C의 특성을 조사했다. 이번 감마선 폭발의 상상도. ⓒ ESA/Hubble, M. Kornmesser
우주망원경과 지상 망원경 동시 감지
감마선 폭발은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폭발 현상으로,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항성이 수명을 다해 중성자별(neutron star)이나 블랙홀로 붕괴할 때, 혹은 쌍을 이룬 중성자별이 충돌해 합쳐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폭발 초기 때 대부분의 에너지는 파장이 짧은 감마선으로 방출되며, 이때의 감마선은 우리가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可視光線)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10밀리초에서 수 시간 동안 계속되는 감마선 폭발 이후에는 가속된 분출물이 성간 물질과 부딪히면서 나오는 잔광(afterglow)이 수 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계속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 잔광은 좀 더 파장이 긴 엑스선과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이다.
이번 감마선 폭발은 지난 1월 NASA의 감마선 관측 우주망원경인 스위프트와 페르미 망원경을 비롯해 카나리아 제도에 위치한 감마선 감지 MAGIC(Major Atmospheric Gamma Imaging Cherenkov) 망원경이 똑같이 엄청나게 밝고 길게 지속된 감마선 폭발을 검출해 내면서 주목을 받았다.
“고에너지 우주물리학의 이정표”
감마선 폭발을 통해 나오는 초고에너지 방출 관측에 심혈을 기울여온 과학자들에게 이번 검출은 고에너지 우주물리학의 이정표로 간주되고 있다.
이전의 관측에 따르면, 이런 초고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붕괴되는 별에서 나오는 물질이 광속의 99.999% 속도로 방출돼야 한다. 방출된 물질은 별을 둘러싸고 있는 가스층으로 돌진해 문제의 감마선 폭발을 일으키는 충격을 야기하게 된다.
과학자들은 처음으로, 이번의 특별한 폭발로부터 극도로 에너지가 넘치는 감마선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감마선 폭발 감지 후 여러 지상 망원경과 우주망원경들은 GRB 190114C의 연구에 착수했다.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감마선 폭발을 관측한 유럽 천문학자들은 폭발 환경을 연구해 이 극한적인 방출이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를 알아냈다.
논문 공저자인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 우주물리학부 수학·우주물리·입자물리연구소의 앤드루 레반(Andrew Levan) 박사는 “허블우주망원경의 관측에 따르면 이 특별한 폭발은 지구에서 50억 광년 떨어진 밝은 은하 한가운데의 매우 밀도 높은 환경에서 일어났다”고 설명하고, “이것은 매우 드문 일로, 밀도 높은 환경이 이런 예외적인 강력한 빛을 생성케 한 것으로 짐작된다”고 말했다.
밀도 높은 환경에서 초고에너지 광자 생성
천문학자들은 이번 감마선 폭발이 발생한 호스트 은하를 연구하기 위해 허블우주망원경과 칠레에 있는 유럽 남부관측소의 초대형 망원경(VLT) 및 세계 최대의 전파망원경인 ALMA(Atacama Large Milimeter/submilimeter Array)를 활용했다.
허블의 광시야 카메라 3은, 폭발의 주인공으로 서로 인접해 있으면서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은하가 환경 속성상 이런 초고에너지 광자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이번 감마선 폭발이 매우 독특한 위치인 거대 은하의 핵 지역 안에서 일어난 것으로 확인했다. 이는 통상적인 감마선 폭발이 일어나는 환경보다 더 밀도 높은 환경임을 가리키며, 관찰된 초고에너지 광자가 생성된 결정적인 요인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논문 제1저자인 스페인 안달루시아 우주물리연구소 안토니오 데 우가르테 포스티고(Antonio de Ugarte Postigo) 연구원은 “과학자들이 감마선 폭발로 인한 초고에너지 방출을 관측하기 위해 오랫동안 노력해 왔다”고 설명하고, “이번의 새로운 관찰은 감마선 폭발과 당시의 주변 환경 및 물질이 광속의 99.999% 속도로 움직일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계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364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8∼22일 '2022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페스티벌 어스(Festival Earth)'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주제전시와 과학강연, 과학기술 성과전시 등으로 구성됐다. 19일 오후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이 반도체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장(腸)에 사는 세균은 종종 장의 벽(gut barrier)을 넘어서 다른 기관을 침범하기도 한다. 이런 장 세균이 면역계를 자극하면 해당 기관에 심한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염증 질환에서 이런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장의 미생물 총에서 어떤 세균이 이런 행동을 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이런 세균을 정확히 확인해 제거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더스-시나이(Cedars-Sinai) 메디컬 센터 과학자들이 획기적인 항체 반응 검사법을 개발했다.
눌어붙지 않는 프라이팬이나 일회용 컵의 방수코팅제 등으로 일상 용품 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불화화합물'(PFAS)은 환경과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돼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불린다. 초고온에서 소각해도 연기에 섞여 대기로 유출되고 물로도 희석이 안 되는 데다 땅에 묻어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침출되는 등 뾰족한 처리 방법 없이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을 제기해왔는데, 이를 저비용으로 쉽게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돼 주목을 받고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 중 태양계를 벗어나 가장 멀리, 가장 오래 비행 중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1, 2호가 이달 말과 내달 초 각각 우주탐사 만 45년을 넘어선다. 보이저호 '쌍둥이' 중 1977년 8월 20일에 먼저 발사된 보이저2호는 목성, 토성에 이어 천왕성과 해왕성까지 근접 탐사한 뒤 현재 지구에서 약 195억㎞ 떨어진 곳에서 시속 5만5천㎞로 비행하고 있다. 보이저1호는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이저2호가 출발하고 보름여 뒤인 9월 5일 발사됐지만 더 빠른 궤도를 채택해 목성과 토성을 탐사한 뒤 현재 약 234억8천만㎞ 밖에서 시속 6만1천㎞로 성간우주를 헤쳐가고 있다.
서아프리카 연안에서 약 6천600만 년 전 공룡시대를 마감한 때와 비슷한 시점에 형성된 소행성 충돌구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지구과학 부교수 우이스딘 니컬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아프리카 연안의 탄성파 자료에서 약 8.5㎞에 달하는 소행성 충돌구를 찾아낸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악기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남미 대륙판이 분리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탄성파 반사 속도로 지질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우연히 충돌구를 확인했다.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 탈퇴를 선언한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건설할 우주정거장의 실물 모형을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모스크바 외곽에서 열린 한 군사 산업 전시회에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모형을 선보였다. 러시아 국영매체는 이 모형을 '로스'(Ross)라고 불렀다. 새로운 우주정거장은 2단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 변화가 태평양 수온과 열대 지역 비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 16일 UNIST에 따르면 도시환경공학과 강사라 교수 연구팀은 기후 모델(Climate Mode) 실험으로 남극 앞바다의 냉각이 적도 태평양의 수온을 낮춘다는 내용을 입증했다. 특히 남극 앞바다의 온도와 열대강우(비구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밝혔다. 남극 앞바다가 차가워지면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고, 그 영향으로 열대강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