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과학소설이나 영화를 보면 정말 사람과 같은 로봇들이 나온다.
영화 ‘A.I.’에 나오는 로봇 ‘데이비드’, 영화 ‘월-E(Wall-E)’에 나오는 폐기물 수거-처리용 로봇 ‘월-E’가 대표적인 경우다.
이들 로봇들은 사람과의 대화에서 기쁨, 슬픔, 지루함과 같은 감성을 눈빛이나 몸짓, 손짓 등으로 다채롭게 표현하고 있다. 그런 만큼 영화 주인공으로 등장해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데 전혀 손색이 없다.
과학자들이 최근 생물학적 원리를 적용해 사람처럼 예민한 감각을 갖고 있는 감성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사진은 SF 영화 ‘A.I’에 나오는 감성 로봇 ‘데이비드’(오른쪽). ⓒfilmquarterly.org
‘항상성’ 확보할 경우 감성로봇 가능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의 뇌과학자 킹손 맨(Kingson Man)과 안토니오 다마시오(Antonio Damasio) 교수는 그동안 감성로봇을 개발해온 사람들이다.
이들은 최근 논문을 통해 “감성로봇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사람처럼 감정이나 의견·가치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임뷰잉 머신(imbuing machines)’ 개발 방안을 제시했다.
관련 논문은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머신 인텔리전스(Nature Machine Intelligence)’ 9일 자에 게재됐다. 제목은 ‘Homeostasis and soft robotics in the design of feeling machines’이다.
이 논문의 골자는 ‘항상성(homeostasis)’이다.
사람의 인체는 불균형 상태를 균형 상태로 되돌리려는 속성이 있다. 이를 ‘항상성’이라고 하는데 육체는 물론 정신 영역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전개된다.
논문은 사람에게 있어 항상성은 생존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신 상태의 한 부분인 감성의 경우 행동을 유발하고, 자부심‧수치심 등을 느끼는 기제로 작용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은 과학계가 이 항상성이란 요소를 간과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사람과 닮은 감성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 항상성이 선행돼야 하는데 과학계가 이 생물학적 원리를 놓치고 있었다는 것.
예민한 충격에 스스로 보호할 수 있어
지금까지 개발해온 지능형 로봇의 경우 특정한 일을 수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사람 대신 차를 운전하는 자율운행 장치, 바둑을 두는 ‘알파고’, 환자를 진단하는 등 특수 기능의 로봇들만 개발되고 있었다.
논문은 사람처럼 항상성을 갖춘 감성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다중감각과 소프트로보틱스 등의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로봇 내에서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로봇 제작 방식을 창안했다고 밝혔다.
이 방식을 활용할 경우 사람처럼 로봇 안에서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의식(consciousness)과 지능(intelligence), 그리고 감성(feelings)을 갖춘 실제 사람처럼 반응할 수 있는 로봇을 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이 방식을 채택할 경우 향후 감성로봇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며, 관련 과학계에 이 방식을 채택해줄 것을 권고했다.
논문은 새로운 차원의 ‘임뷰잉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소프트로보틱스(softrobotics)와 기계학습 기능인 딥러닝(deep learning)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소프트로보틱스란 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것과 비슷한 물질로 유연한 로봇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신경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신소재를 통해 예민할 정도의 감성을 지닌 로봇 환경을 제작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딥러닝은 사람처럼 다양한 느낌에 예민하게 반응하기 위한 다중감각(multisensory) 기술을 개발하는데 적용했다고 말했다. 사람의 감각이 뇌의 반응을 유발하듯이 주변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인공신경망을 구축할 수 있었다는 것.
논문은 향후 소프트로틱스 기술발전을 통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로봇 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사람의 피부처럼 유연한 소재에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전자센서를 부착할 경우 사람의 피부 같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 이런 메커니즘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에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등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논문은 영화 ‘A.I’에 나오는 로봇 데이비드와 같은 로봇 개발이 꿈이 아니라고 말했다.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기반으로 로봇을 제작할 경우 고도의 인지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밝히며, 과학계의 관심을 촉구했다.
(1158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21)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