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는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바이러스다.
모기를 통해 감염되지만, 말·까마귀·참새 등 길짐승이나 조류 등을 통해서도 감염이 되는 뇌염의 일종이다.
문제는 한동안 사라졌던 이 질병이 최근 다시 나타나 퍼져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1937년 처음 발견된 뒤 50여 년간 거의 발견되지 않다가, 1990년대 말부터 유럽 일부 지역에서 다시 나타나기 시작해 1999년에는 미국 뉴욕에서 발견됐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와 같은 과거 사라졌던 바이러스가 다시 나타나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과학자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과 바이러스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밝혀내고 있다. ⓒ 게티 이미지
과거 사라졌던 바이러스 다시 등장해
이후 미국은 물론 캐나다, 유럽 등으로 확산돼 지금은 일상적인 질병으로 자리 잡았다.
21일 ‘메디컬 뉴스 투데이’에 따르면 그동안 과학자들은 사라졌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다시 나타난 원인을 찾고 있었다.
그리고 최근 스탠포드대 연구팀은 미국인을 대상으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에서 감염률이 가장 높은 지역의 온도가 24~25°C였다는 것. 이는 비교적 온도가 낮은 지역에서 바이러스가 대량 유포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미국은 초봄에서 늦은 가을까지 이 수준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지역이 많다. 특히 미국 인구의 약 70%가 이 온도 상황에서 살고 있는 만큼 여름을 전후해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원인으로 보고 있다.
과학자들은 또 이런 상황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하고 있다. 논문 작성에 참여한 스탠포드대 마르타 쇼켓(Marta Shocket) 박사는 “최근 온도가 상승하면서 미국 대다수 지역에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논문은 지난주 영국의 과학저널 ‘이 라이프(eLife)’에 게재됐다. 제목은 ‘Transmission of West Nile and five other temperate mosquito-borne viruses peaks at temperatures between 23°C and 26°C’이다.
온도 상승으로 지구 전역서 바이러스 기승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은 최근 바이러스 확산이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왔다.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이 생태계 질서를 위협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바이러스 확산이 급속히 빨라지고 있다는 것.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대표적인 경우다. 스탠포드대 연구 결과는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간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말해주고 있다. 24~25°C의 온도가 모기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에 있어 최적의 온도가 되고 있다는 내용이다.
연구팀은 또 온도, 지역, 바이러스 감염 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추적한 10가지 전파 모델을 온도와 지역에 따라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전 지구적으로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는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미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지난 19세기 말 이후 지구 온도는 평균 0.9°C 올라갔다.
주목할 점은 온도 상승이 지난 35년 동안 급속히 빨라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간 중 지구 생태계에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문제는 이런 변화가 인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온도 상승은 전염병 확산의 패턴을 바꿔놓고 있다.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들이 등장해 모기, 새, 포유류 등의 숙주를 거쳐 사람에게 전파되고 있는 중이다.
그중에는 말라리아, 뎅기열 변종을 비롯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몰고 온 신종 바이러스(SARS-CoV-2)도 포함돼 있다.
하버드 대학의 환경‧건강 센터 아론 번스타인(Aaron Bernstein) 박사는 “특히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사례의 경우 지난 20년간 과거와 다른 패턴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낮은 온도에서 24~25°C로 다가갈수록 확산이 절정을 이루다가 온도가 더 올라가면 확산이 억제되고 있다는 것. 관계자들은 이런 현상이 최근 기후변화 상황에서 바이러스들이 보여주고 있는 생존 패턴으로 보고 있다. 온도가 변화되고 있는 중에 바이러스들이 최적의 생존 환경을 선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번스타인 박사는 “기후변화가 바이러스와 모기와 같은 숙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다.”며, “다양한 기후변화 요인과 바이러스 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348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