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보놀 성분을 함유한 사과와 블랙베리 등을 섭취하는 것이 노인의 ‘노쇠’ 발현 가능성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쇠(frailty)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이 필연적으로 떨어지는 노화(aging)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일상에 지장을 줄 만큼 나이에 비해 신체기능이 심각하게 약해져 낙상과 골절 등을 초래할 위험이 높고 장애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노쇠 증상은 전체 노인의 약 10∼15%가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하버드의대 계열 임상 연구소인 ‘힌다·아서 마커스 노화연구소’ 등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의 하위그룹인 ‘플라보놀’ 섭취와 노쇠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미국 임상영양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발표했다.
총 1천701명을 대상으로 최대 12년까지 추적하며 노쇠 상태를 느린 걸음걸이와 악력 저하, 체중 감소 등과 같은 주요 특징을 통해 평가했다.
이 평가에서는 대상자 중 13.2%가 노쇠 증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플라보노이드 총섭취량과 노쇠 증상 발현 사이에 중대한 연관성은 없으나 플라보노이드의 하위 그룹인 ‘퀘세틴'(quercetin)과 같은 플라보놀 섭취는 노쇠 발현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제시했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 “‘하루 한 알의 사과가 의사(노쇠)를 멀리하게 한다’는 옛말이 어느 정도 정당화되는 듯하다”면서 “플라보놀을 하루 10㎎씩 더 섭취하면 노쇠 발현 가능성이 20%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간 크기 사과가 약 10㎎의 플라보놀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일 쉽게 섭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하버드의대의 시바니 샤니 박사는 “플라보노이드 섭취와 노쇠 간 중대한 연관성은 없지만 플라보노이드의 하위 그룹인 플라보놀 섭취 증가는 노쇠 증상 발현 가능성을 낮추는 것과 연관돼 있다”면서 “특히 퀘세틴 섭취량 증가는 노쇠 예방과 가장 강력히 연관된 플라보노이드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자료들은 노쇠 예방 식단 전략으로서 강력한 효과를 갖는 플라보노이드의 하위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했다.
연구팀은 앞으로의 연구는 퀘세틴이나 플라보놀 섭취가 노쇠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시하고, 인종적으로 연구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1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한껏 고조된 과학계의 열기가 다음 달 ‘양자 과학’으로 이어진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내달 26~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퀀텀코리아 2023’이 개최된다. 퀀텀코리아는 2020년부터 개최해오던 ‘양자정보주간’(Quantum Week)을 올해부터 세계 양자생태계 혁신 흐름을 조망하는 최고 수준의 국제행사로 브랜드화한 것이다. 행사 첫날 개막식에는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미국의 양자 분야 석학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
/ 한국한의학연구원 이준 박사 연구팀은 한약재 강활에서 추출한 특정 성분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을 조절하는 것을 밝혀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내 자생 강활에서 분리·분석한 31종의 단일 성분 가운데 마르메시닌 성분이 가장 강한 항당뇨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성분이 췌장 베타 세포를 자극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작용
44억년 전 초기 지구에서 생명체 재료가 되는 탄화수소, 알데히드, 알코올 등 유기 분자들이 철이 풍부한 운석이나 화산재 입자들이 촉진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안정적이고 부작용이 적으면서 수술 후 전이·재발을 막을 새로운 형태의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한국연구재단은 울산대 진준오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서 얻은 표면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한 지질 나노입자(AiLNP)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복통, 설사, 직장 출혈, 철 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등 4가지 징후 또는 증상이 50세 이전에 나타나는 조기 발생(early-onset) 대장암의 경고 신호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화학 섬유에서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오염에 경각심을 갖고 생분해가 가능한 옷을 찾는 착한 소비가 생기고 있지만 생분해를 내세우며 개발된 섬유도 실제 환경에서는 제대로 썩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