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RM 푸름이야기] 제2회 : 광유전학적 인슐린 분비 조절 기술
글 : KAIST 생명과학과 한용만 교수 연구실 최지은 박사
한국인의 삶을 고달프게 하는 국민질환 1위가 당뇨병이라는 최근 발표가 있습니다. 당뇨병은 오랜 기간 합병증을 겪으면서 환자들의 삶을 힘들게 하기 때문입니다. 당뇨병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여기에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세포에서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당뇨병은 1형과 2형으로 구분됩니다. 1형은 인슐린 분비를 담당하는 췌장 내 베타세포의 기능 저하로 인해 인슐린의 분비가 감소해서 발생되는 선천적인 질환입니다. 2형은 인슐린을 수용하는 세포에 내성이 생겨 호르몬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혈당이 조절되지 못하는 후천적 질환입니다. 미래에는 인슐린 분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을까요?
그림1. 광유전학 기법을 활용한 신경 세포 자극 모식도(1) ⓒ KAIST 생명과학과 한용만 교수 연구실
광유전학(optogenetics)은 말 그대로 광(opto)+유전학(genetics)의 합성어로서 유전학적 기법에 광학적 기술을 접목한 것입니다. 이 광유전학의 개념은 청색 빛을 감지하여 녹조류의 신경에 전류를 일으키고 있는 특수한 단백질, ‘채널로돕신 (Channelrhodopsin)’의 발견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2). 즉 자극을 원하는 세포에 빛을 감지하는 채널로돕신이라는 센서를 부착한 것입니다.
채널로돕신은 빛을 인지하는 센서로 작용하며 자극을 원하는 세포만을 자극 시킬 수 있도록 해줍니다. 광유전학이 나오기 전까지는 신경세포를 촉진·억제하기 위해서는 전기나 약물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주변의 다른 세포까지 영향을 줘 정교하게 신호를 조절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광유전학의 장점은 타겟 세포 혹은 타겟 세포 내의 원하는 위치만을 원하는 시각에 ON/OFF 시키는 정확성, 다시 말해 시공간적(spatiotemporal)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동안 광유전학 기술은 신경세포 및 일반 세포를 대상으로 세포 내 분자적 메커니즘의 조절 연구에 활발히 응용되어 오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혈당을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를 광유전학적으로 조절하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췌장 내 베타세포의 기능 저하가 원인인 1형 당뇨의 경우 선천적으로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들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 식단 조절이나 운동 등을 통해 조절이 되지 않습니다. 정확히 정해진 시간에 인슐린을 주사하는 방법 외에는 실질적으로 치료를 할 방법이 여전히 없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당뇨병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췌장 베타세포의 재생 및 대체 치료에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광유전학 기술을 통한 당뇨 치료기술의 아이디어적 핵심은 빛 자극을 받았을 경우에만 인슐린을 분비할 수 있는 베타세포를 제작하여 이를 환자에 이식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편의성을 대폭 개선함과 동시에 처방 용량의 개인별 맞춤화를 이룰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2011년 스위스 연구팀에 의해 최초로 소개되었습니다. 멜라놉신(melanopsin) 이라는 광센서 단백질(빛을 감지하면 세포 내로 칼슘 이온을 들여보내는 성질을 가진 단백질)을 활용하여 빛을 받으면 간접적으로 인슐린을 생산하는 디자인 세포를 만드는 데에 성공하였습니다(3)(그림2).
그림2. 멜라놉신 광센서 단백질을 활용한 광 유도 인슐린 생산 모식도(왼쪽) 및 실험 결과(오른쪽) (3) ⓒ KAIST 생명과학과 한용만 교수 연구실
이후 채널로돕신을 포함 여러 광센서 단백질들을 활용한 당뇨병 치료 기술이 개발되어 왔습니다(4-6). 한편, KAIST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팀은 OptoSTIM1이라는 광센서 단백질을 통한 칼슘이온 조절을 보고한 바 있습니다(7).
본 연구팀은 이 OptoSTIM1 광센서를 인간전분화능 줄기세포에 도입하고 이를 췌도 오가노이드(pancreatic islet-like organoid)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그림 3). 아울러 이들 췌도 오가노이드는 광 조사에 의해 인슐린을 분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췌장 베타세포가 인슐린을 분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의 증가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OptoSTIM1을 베타세포에 도입함으로써 광유전학적으로 칼슘이온 증가를 통한 인슐린 분비를 유도한다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광유전학 기술이 실용화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그러나 빛 자극만으로 당뇨를 치료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상상이 실질적으로도 증명되고 있다는 사실은 자못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미래에는 정말 빛 조절 버튼 하나만으로 내 몸의 혈당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시대가 올지도 모릅니다.
그림3.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에서 빛에 의한 인슐린 분비 조절 모식도 ⓒ KAIST 생명과학과 한용만 교수 연구실
[참고문헌]
1. Courtesy of the MIT McGovern Institute, Julie Pryor, Charles Jennings, Sputnik Animation , and Ed Boyden.
2. Nagel, G. et al. (2003). Channelrhodopsin-2, a directly light-gated cation-selective membrane channel. Proc Natl Acad Sci 100, 13940.
3. Ye, H. et al. (2011). A synthetic optogenetic transcription device enhances blood-glucose homeostasis in mice. Science 332, 1565.
4. Kushibiki, T. et al. (2015). Optogenetic control of insulin secretion by pancreatic beta-cells in vitro and in vivo. Gene Ther 22, 553.
5. Zhang, F., and Tzanakakis, E.S. (2019). Amelioration of Diabetes in a Murine Model upon Transplantation of Pancreatic beta-Cells with Optogenetic Control of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ACS Synth Biol 8, 2248.
6. Shao, J. et al. (2017). Smartphone-controlled optogenetically engineered cells enable semiautomatic glucose homeostasis in diabetic mice. Sci Transl Med 9. eaal2298.
7. Kyung, T. et al. (2015). Optogenetic control of endogenous Ca(2+) channels in vivo. Nat Biotechnol 33, 1092.
* 이 글은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KAIST 생명과학과 한용만 교수 연구실 최지은 박사)으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466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