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평가연구소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진행 정도를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술을 거의 마시지 않는데도 고지방 위주의 식사와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알코올성 지방간처럼 간에 지방이 쌓이는 질환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진행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침습적 생체조직검사가 표준 방법으로 쓰이고 있으나, 적은 조직이 전체 간을 대변하기 어렵고 누가 판독하느냐에 따라 오차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소는 임피던스를 이용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기 어려운 정도를 뜻하는 저항값이다. 인체 체지방 등 체성분 측정 원리로도 쓰인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3차원 세포 모델을 만들어 전도성 액체에 넣은 뒤 임피던스 파라미터 값을 측정한 결과, 질환의 진행에 따라 중성지방의 증가와 염증에 의한 세포 확장, 막간 단백질 손상, 경도(단단함) 증가 등 임상에서 나타나는 질환의 단계별 특징을 파라미터 값의 변화를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정상 간과 단순 지방간, 지방간염 조직 3차원 세포 모델을 각각 제작해 일정한 압력을 가한 뒤 주파수 별 임피던스 파라미터 값을 측정한 결과 병증을 서로 구분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간 모델은 정상 간에 비해 저항값의 변화량이 작고 물리적인 경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간 섬유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오정화 박사는 “비임상 단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며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이달 호에 실렸다.
(6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