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1-21 ⓒ ScienceTimes 태그(Tag) #POSTECH #UNIST #고부가가치화합물 #그레이수소 #그린수소 #몰리브덴 #블루수소 #수소 #수소공정 #연구정보중앙센터 관련기사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KAIST 연구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초고속 제조 성공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그린수소(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만들어내는 친환경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전해전지를 10분 만에 초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전극과 전해질이 모두 고체로 수소 값싸게 생산…기계연, 고온 수전해 기술 3천시간 운전 성공 20㎾(킬로와트)급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시스템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최초로 청정수소를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김영상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20㎾(킬로와트)급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전주기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기술은 부산대 연구팀, 차세대 그린수소 생산 전극 개발 AEM 수전해 스택 및 부품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박유세 교수 연구팀이 가격이 저렴한 비귀금속 소재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박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물을 수소와 산소로 전기분해 하는 설비인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해 스택'의 원가를 "폐플라스틱 유래 물질 이용한 수소 저장·회수 기술 개발" 연구진 모습 왼쪽부터 UNIST 안광진 교수, KIST 손현태 박사, POSTECH 한지훈 교수, UNIST 이현건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플라스틱 중 스티로폼으로 대표되는 폴리스타이렌(PS) 유래 물질에 수소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6일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촉매 합성 실험하는 연구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수소연구단 구기영 박사 연구팀이 수소 생산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암모니아 분해 촉매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암모니아(NH₃)는 수소(H₂)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운송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암모니아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공정 개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김지훈·오경렬 박사 연구팀이 외부에서 수소를 공급할 필요 없이 자일로스로부터 자일리톨·자일론산 등 화학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수수 심지, 자작나무 껍질 등 UNIST "그린수소 생산 인공나뭇잎 모듈 개발…상용화 가능성↑" 고효율 무배선 인공나뭇잎 기반 태양광 수소 생산 시스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태양에너지를 수소로 직접 전환하는 인공 광합성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인 인공나뭇잎 모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3일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석상일·장지욱 교수팀이 고효율, 고내구성, 대면적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친환경 기술 개발 햇빛만으로 폐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과 현택환 연구단장, 경희대 김민호 교수 공동 연구팀이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광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존 수소 생산에 널리 쓰이는 '메테인 수증기 개질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 생산한다 기계연,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수소 생산 성공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 이지혜 박사 연구팀은 비스무트 바나데이트(BiVO₄) 광전극의 생산성을 높여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린수소는 태양력·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해 수전해(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생산하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수전해 촉매 운영 안정성 지수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정동영 교수 연구팀이 수전해 장치의 촉매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전해 장치는 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태양력·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방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100만년 전 중국 두개골 발견, 인류 진화 타임라인을 최소 50만년 앞당기나 스트레스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스티로폼 용기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폐 손상 일으킨다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모유로 전달돼 아이 면역체계 교란 "비만약 세마글루티드, 감량 효과 관계 없이 심장 보호"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KAIST서 30∼31일 연구·실험실 공개…미래 핵심 분야 기술 소개 속보 뉴스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기후 위기에 강한 상권 AI로 찾는다…KAIST·MIT 공동 연구 머리카락보다 가는 코일 실로 가볍고 강한 근육 옷감 대량생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노화된 뇌의 기억력 저하 되돌릴 수 있다…쥐 실험 확인"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