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정연호)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황주호)이 방사선 기술과 나노 기술을 이용한 협동 연구를 통해 연료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핵심 소재를 개발했다.
25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에 따르면 양 기관은 지난 2007년부터 4년여에 걸쳐 수행한 ‘방사선을 이용한 연료전지 소재 개발’ 과제를 통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저온 동작을 가능케 하는 ‘탄소막 코팅 은나노 분말 촉매제’를 개발했다.
낮은 온도에서도 성능 내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 Solid Oxide Fuel Cell)는 ‘수소를 포함하는 연료’와 ‘공기’가 공기극과 고체 전해질, 연료극을 통과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전지를 말한다. 연료전지 중에서도 효율이 월등히 높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해 대형 열병합 발전소, 화력발전소 대체 등 대규모 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좋은 SOFC의 이온 교환을 위해서는 800~1천℃의 높은 온도가 필요해 고가의 특수 합금을 소재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실용화의 걸림돌이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은을 사용해 저온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돼 왔지만, 은이 열처리 과정에서 서로 응집하는 단점이 있었다.
원자력연 이창규 박사팀과 에너지기술연구원 송락현 박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를 코팅한 은나노 입자’를 촉매제로 사용했다. 연구팀은 은나노 입자 표면을 탄소로 코팅함으로써 SOFC의 핵심 부품인 공기극과 은나노 입자의 결합력을 높이고 열처리 중에 은나노 입자끼리 응집되지 않도록 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실험 결과 탄소막이 코팅된 은나노 분말 촉매제를 입힌 공기극을 사용한 SOFC가 650℃에서 최대 400 ㎽/㎠의 성능을 내는 것을 확인했다.
높은 메탄올 농도에서도 거뜬해
한편 원자력연 신준화 박사팀과 에너지기술연구원 정두환 박사팀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를 소형화·경량화하고 추운 날씨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사선 조사 고분자 연료전지막’ 개발에 성공했다.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는 메탄올이 연료극을 통과할 때 촉매와 반응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를 말한다. 리튬이온 전지나 리튬-고분자 전지와 달리 직접 충전은 불가능하지만, 메탄올만 공급해주면 사용 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노트북,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용 차세대 전원으로 각광받고 있다.DMFC는 고농도 메탄올을 사용할수록 더 작은 크기의 전지로 동일한 출력을 얻을 수 있고 더 낮은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어 겨울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연료전지막들은 메탄올 농도를 높이면 메탄올을 흡수해서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 연료전지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신 박사팀은 방사선 접목 기술을 이용해 고분자 필름에 염화비닐벤질 고분자를 접목시킨 뒤 이를 화학적으로 처리했다. 이로써 메탄올의 투과는 최소화하고 수소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 방사선 조사 고분자 연료전지막을 개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연료전지막으로 DMFC 스택을 제작한 결과, 놀랄만 한 결과를 얻었다.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듀퐁(Dupont)사 소재인 나피온(Nafion)이 메탄올 농도 1몰에서만 정상 작동하는 반면, 방사선 조사 고분자 연료전지막은 5몰 이상의 높은 메탄올 농도에서도 나피온보다 2배 이상의 출력(120 ㎽/㎠)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교과부 관계자는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선 및 나노 관련 기술과 에너지기술연구원의 연료전지 제작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돼 만들어진 협동 연구의 모범 사례”라며, “연료전지 핵심 소재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국가 에너지 R&D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인 연료전지 기술 완성을 앞당기는데 기여할 전망”이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SOFC의 낮은 동작 온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출력을 500㎽/㎠까지 높일 계획이다. 또한 DMFC는 40W급 시제품을 제작해서 기술의 우수성을 증명한 뒤 성능 및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 고분자 연료전지막의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426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