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겠다고 밝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바다에 퍼지는 방사성 오염수를 빠르게 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동 핵종 분리장치를 이용한 해수 중 방사성 스트론튬 신속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스트론튬-90은 원자로에서 생성되는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이다.
해수 속 스트론튬-90 양을 측정함으로써 방사성 오염수의 향방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닷물 속에는 스트론튬-90과 화학적 거동이 유사한 물질이 많아 극미량인 스트론튬-90만 분리해 측정하기 쉽지 않다.
바닷물에 특정 이온을 추가해 탄산스트론튬으로 바꾼 뒤 침전시키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해 스트론튬-90 양을 분석하는 침전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과정이 복잡해 분석하는 데 3주 이상 걸린다는 한계가 있다.
스트론튬-90은 시간이 지나면 베타선을 방출하면서 이트륨-90으로 변하는데, 18일이 지나면 스트론튬과 이트륨의 양이 같아진다.
연구팀은 이 같은 특성에 착안해 이트륨-90을 흡수하는 수지(레진)와 자체 개발한 자동 핵종 분리장치를 이용해 이트륨-90 양을 측정, 스트론튬-90의 양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틀이면 자동으로 이트륨-90을 분리해 낼 수 있어 기존 공정보다 분석 속도가 10배 이상 빠르다.
검출할 수 있는 최소 농도는 0.4mBq/㎏(킬로그램당 밀리베크렐)으로, 기존 침전법의 최소 검출가능 농도(0.2mBq/㎏)와 비슷한 수준이다.
김현철 박사는 "방사성 오염수가 어떤 경로로 확산하는지 신속하게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0-10-2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