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과학상식] 어디나 착륙할 수 있는 개념, 구체화 시 보급 능력의 획기적 증대 예측
스페이스 X사의 발사체 스타쉽 SN9. 미 공군의 <로켓 카고> 개념을 구현할 플랫폼이 될 가능성이 높다. ⒸWikipedia
미 공군이 새로운 수송 체계 건설을 위해 4,790만 달러의 예산을 달라고 미 의회에 요구하고 있다. 우주 공간을 통해 지구상 어디라도 1시간 내로 물자의 배송이 가능한, 문자 그대로의 로켓 배송이다.
미 공군은 이 새로운 수송 체계 프로그램에 <로켓 카고>라는 이름까지 붙이고, 최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 미 공군은 지난 5월 말 공개한 462페이지 분량의 연구개발 시험평가 예산 요청서를 통해, 2022 회계년도에 4가지 신기술 예산을 달라고 요청했다. 이 중에는 <로켓 카고>도 포함되어 있다. 단, 이 문서에서는 그 첫 시험 비행 일자는 아직 예정되지 않았다.
이 요청서에서는 <로켓 카고>로 대형 로켓의 새로운 궤도와 비행방식, 야지 착륙 능력, 물자 공수용 사출식 캡슐의 설계와 시험 등을 시연할 것이라고 적혀 있다. 로켓 카고는 미 본토에서 보급품과 장비, 심지어는 사람까지 태우고 세계 어디든지 순식간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이다.
여기에 쓰일 로켓은 기존의 민간용 로켓을 공군의 사양에 맞게 약간 개조한 것이 될 가능성이 높다. 화물 탑재량은 100톤이며 사출식 화물 캡슐을 장비한다. 일론 머스크는 로켓 전체가 땅 위에 내려앉는 퍼포먼스도 보여준 적이 있지만, 아무래도 적대적인 환경에서 사용될 것이다 보니 그보다는 화물 캡슐을 대신 땅 위에 내려보내는 방식으로 운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 방식으로 운용하면 보급병들이 전용 하역 장비를 사용할 필요도 줄일 수 있고, 화물 캡슐에 탑재했던 차량이 자력으로 화물 캡슐 밖으로 주행해 나오도록 설계하기도 쉽다. 미 공군은 이러한 개념을 2020년부터 연구해 왔으며, 그 구현을 위해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 X사와 협의했다고 한다.
스페이스 X사의 스타쉽을 개조해 사용할 수도
이러한 개념이 현실화될 경우, 미 공군은 대량의 화물수송용 로켓을 확보해 준비 태세를 유지할 것이다. 이 로켓들은 기존의 상용품을 군용으로 약간 개조한 제품들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로켓들은 서해안의 반덴버그 기지, 동해안의 케네디 우주센터 등의 기존 로켓 발사장에서 발사될 수도 있지만, 야지에 급조된 발사장에서 발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시에 신속한 보급 지원을 받아야 하는 해외 파병 미군을 위해, 이 로켓들에 화물을 넣고 발사하면 로켓은 저지구궤도까지 상승해 목표 지점까지 날아간다. 목표 지점에서 화물을 넣은 화물 캡슐이 분리되어 목표 지점 지면으로 천천히 하강해 착지한다. 그러면 보급병들이 화물 캡슐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다.
앞서도 말했듯이, 새로운 우주 발사체 체계는 개발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만큼 돈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로켓 카고> 시스템의 기반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큰 발사체 체계는 스페이스 X 사의 스타쉽 시스템이다. 현재 가장 기술적 완성도가 높은 상용 대형 우주 발사체 체계다. 또한 화물 탑재량도 100톤으로, 미 공군의 요구를 충족한다.
게다가 미 공군은 <로켓 카고> 개념 발전을 위해 스페이스 X 사와 협력했기 때문에, 이 회사의 제품이 채택될 가능성도 그만큼 높다. 물론 스타쉽은 로켓 전체가 지상에 착륙하는 설계지만, 공군의 요구에 맞게 별도의 화물 캡슐을 장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로켓 카고> 개념이 현실화되면, 안 그래도 세계 최대였던 미군의 보급 능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4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