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가 해파리 급증이라는 현상까지 만들고 있다. 기후변화로 해양 수온이 올라가면서 해파리의 개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해파리 개체 수의 증가로 어촌과 피서지가 큰 피해를 보고 있다는 점이다. 양식장을 초토화시키거나 어망을 못쓰게 만들어 버리기가 일쑤이고, 피서지에서는 피서객들이 해파리에게 쏘여 병원 신세를 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해파리를 가공하여 영양분이 풍부한 미래 식량으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uga.edu
그런데 이처럼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주는 유해생물인 해파리가 최근 들어 유용한 자원으로 변신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유럽의 과학자들이 개발하고 있는 해파리를 활용한 유용 자원은 바로 ‘노벨푸드(novel food)’다.
노벨푸드의 사전적 의미는 ‘일반적으로 식용 이력이 없고 안전성 평가가 필요한 식품 또는 식품성분’으로서 일종의 신개념 식품을 뜻한다. 원래는 식품으로 사용하지 않다가 영양성분이 뒤늦게 발견되어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개발된 경우를 노벨푸드라고 부르는 것이다.
대표적 노벨푸드로는 노니(noni)나 크릴오일(krill oil) 등을 꼽을 수 있다. 남태평양 지역에서 서식하는 열대식물인 노니는 항염 및 항산화 기능이 밝혀지면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고 있고, 남극 바다에서 서식하는 새우에서 추출한 기름인 크릴오일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미래 식량자원 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해파리
해파리를 노벨푸드로 만들기 위한 연구개발은 유럽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EU위원회는 ‘Horizon 2020 프로그램’을 통해 해파리를 식용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연구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자금을 지원하는 목적은 해파리가 미래 식량의 자원으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EU위원회는 전 세계가 수산 자원을 과도하게 남획함으로써 개체수가 절대적으로 줄어들고 있지만, 해파리 개체수 만큼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만약 해파리가 식량으로서의 가치를 갖고 있다면 개체수 증가는 환영할 만 한 일이기 때문이다.
부정적 이미지가 강한 해파리를 미래 식량으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유럽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RTL
그동안 유럽과 북미 등지에서는 해파리를 먹지 않았기 때문에 이제 와서야 노벨푸드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지만, 사실 일부 아시아 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영양가가 풍부한 별미 음식으로 애용되어 왔었다.
따라서 해파리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해파리가 식품으로서의 안정성과 품질을 갖고 있는 것으로 결론이 나면, 아시아를 제외한 유럽 및 북미에서도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식품으로서 인정을 받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 함량 풍부
유럽의 여러 국가들 중에서도 해파리의 식품화 연구에 가장 앞서 나가고 있는 곳은 독일의 열대해양연구센터(ZMT)다. ‘홀거 퀸홀트(Holger Kühnhold)’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유럽인들에게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 해파리를 가공하여 여러 사람들이 즐겨 찾는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열대해양연구센터는 해양과 관련한 여러 가지 연구를 추진하고 있는데, 그중에는 해양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바다에서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얻을 수 있는 연구가 가장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센터의 해법은 해양 생태계에서 먹이 사슬이 가장 낮은 생물을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어나 참치 같은 어류는 생태계의 먹이 사슬 중에서 높은 단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개체수도 많지 않고 포획 과정도 쉽지 않다.
반면에 조류나 플랑크톤 등을 먹고사는 해파리는 생태계에서 비교적 낮은 단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개체 수도 많고 포획도 상대적으로 쉽다. 따라서 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해파리 같은 동물을 식품으로 만드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하다는 것이 연구센터의 시각이다.
해파리는 광합성을 하는 조류를 먹기 때문에 양식에 드는 비용이 경제적이다 ⓒ Wir Essen Gesund
실제로 해파리는 물고기의 진액을 촉수로 빨아먹는 몇몇 종류만 빼면 대부분 조류나 플랑크톤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광합성을 하는 조류를 포획하기 위해 해수면 위에서 해파리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LED로 조류가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시설만 마련되면 도심지에서도 해파리를 키울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퀸홀트 박사의 설명에 따르면 해파리의 신체는 지방이 적은 대신에 대부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일부는 필수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미네랄과 불포화지방산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유럽과는 달리 아시아에서는 오래전부터 해파리를 요리의 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점을 거론하며 “스프나 샐러드 비슷한 아시아 요리를 살펴보면 해파리가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퀸홀트 박사는 해파리를 영양분의 보고인 슈퍼푸드의 하나로 제시하면서 “유럽인들의 식탁에 해파리를 소재로 하는 칩이나 단백질 분말 형태의 저칼로리 슈퍼푸드가 오를 날이 머지않았다”라고 기대했다.
열대해양연구센터 연구진은 현재 해파리가 가진 영양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해파리들을 양식하고 있는데, 특히 끈적끈적한 촉수가 양식 과정에서 어떻게 잘 유지되는지를 파악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576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신체 크기를 자유자재로 변형시키는 능력을 갖춘 주인공이 거시와 미시세계를 넘나드는 이야기를 담은 SF영화인 '앤트맨'의 세계관 실현과 관련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박혁규·쯔비 틀러스티(UNIST 교수) 연구진은 우리 눈에 보이는 거시세계 물질에서 입자들이 짝을 지어 움직이는 현상을 실험·이론을 통해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천조분의 1초 동안 일어나는 나노입자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권오훈 교수 연구팀은 국내 유일 4차원 초고속 투과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의 매우 빠른 금속-절연체 상변화 과정을 펨토초(1천조분의 1초) 수준의 정확도로 직접 포착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이지민 교수 연구팀이 질환 억제·촉진 실마리가 되는 단백질의 수명을 결정하는 단백질 '번역 후 변형'(이하 PTM) 코드를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디옥시리보핵산(DNA)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통해 복사(전사·transcription)·번역(translation) 과정을 거쳐 단백질로 발현되는데, PTM은 최종 단백질로 번역까지 일어난 이후 추가로 생기는 현상이다. 단백질 구조·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주로 알려졌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김태호·안수민 박사 연구팀이 강원대 조용훈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전해(물 전기분해) 장치를 활용해 친환경 수소를 생산할 때 성능을 80% 향상하는 전해질막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소 이온을 전달하는 부분과 막의 강도를 유지하는 부분을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로 분리된 구조로 설계했다.
올해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를 기념한 다양한 과학행사가 연중 이어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대전 유성구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대덕특구 50주년 기념행사 추진위원회 출범식'을 열어 기념행사 준비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대덕특구 50주년을 맞아 성과전시회, 기술사업화박람회, 국제콘퍼런스, 50주년 기념식 등 기념행사를 열기로 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