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과학상식] 상용 SUV에 기반해 개발시간과 비용 단축한 미군의 새로운 발
ISV ⓒ미 육군
“힘을 제압하는 것은 속도”라는 말도 있듯이, 전투에서 신속한 기동은 화력을 능가하는 힘을 발휘할 때도 많다. 미 육군은 최소 단위의 부대인 분대(현재 미군의 편제로는 9명)에 높은 기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분대원 전원이 탑승하고 거친 지형을 기동할 수 있는 보병 분대 차량(Infantry Squad Vehicle: 이하 ISV)을 GM 디펜스와 함께 개발 중이다. 이 차량은 지난 11월 8일, 미국 국방부 차관 캐서린 힉스의 시승 영상이 트위터에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좌석 배치는 제1열과 2열에 전방을 향해 각각 2명과 3명이 앉고, 제3열은 후방을 향해 2명, 좌측과 우측을 향해 각 1명씩이 앉는 방식이다. 이로써 탑승자 전원이 360도 전방위를 다 볼 수 있다. 운전석 바람막이를 제외하고는 창문이 없고, 문도 없다. 때문에 빠르게 승하차할 수 있다.
이 차량에는 심지어 장갑판이나 총탑도 없다. 오직 기동력에만 초점을 맞춘 설계다. 물론 총탑과 소화기 거치대를 추가하고, 대신 좌석을 4개 줄인 모델도 있기는 하나, 이 모델은 아직 미 육군에서 채용할 계획이 없다.
미 육군은 ISV를 2024년 말까지는 649대, 총 2,065대를 조달할 계획이다. 앞서도 잠시 비쳤듯이 높은 방호력을 갖춘 장갑 험비나 MRAP(Mine Resistant Ambush Protected vehicle, 내지뢰매복방호차량) 등과는 정반대의 개념과 형태로 만들어진 데에는 미 육군의 전술 교리 변화가 큰 역할을 했다. 올 1월 발간된 미 육군 교범에서는 보병 여단 전투단의 역할을 “복잡한 지형에서의 하차 작전”으로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복잡한 지형이란, 도심지 및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제한적 지형 및 환경 조건이 있는 지리적 영역을 말한다.
제한적 지형이란 소택지 옆의 작은 마을이 될 수도, 돌밭 가장자리의 산업 단지가 될 수도, 숲 속으로 파여진 참호망 등이 될 수도 있다. 즉 기존의 MRAP이나 스트라이커 장갑차로는 접근하기 어렵고, 도보 또는 오프로드 차량으로만 접근 가능한 험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ISV는 이러한 지형에 1개 분대를 싣고, 도보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정차 후 보병이 하차, 은엄폐하여 전투할 수 있게 해 주는 차량이다. 즉, 승차 전투는 전혀 고려되지 않은 순전한 기동 장비다.
육군은 ISV에 높은 전략 기동성도 요구했다. 즉 항공기로 운반하기 쉬워야 한다는 것이다. 블랙호크 헬리콥터 및 치누크 헬리콥터의 기체 밖에 매달아 수송할 수 있어야 하며, C-130 및 C-17 수송기로부터 낙하산 투하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차량이 착지한 다음, 별도로 강하한 탑승자들이 바로 시동을 걸어 목적지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ISV는 최대 1.44톤의 인원과 물자를 탑재할 수 있다.
특이할만한 점은 이 차량의 부품은 민간용 픽업 트럭인 셰비 콜로라도 ZR2 차량의 순정 부품과 70%가 공유된다는 것이다. 나머지 중 20%는 민수 시장에서 유통되는 동 차종의 튜닝 부품, 10%는 군용 목적으로 특별 제작된 부품들이다. 이는 높은 개발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를 노린 것이다.
(993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