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 물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떤 경로를 거쳐 지구 같은 행성에 존재하게 되었는지는 잘 알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 과학자들은 우주에서 물이 여행하는 경로를 훨씬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됐다.
네덜란드 라이덴대학교의 천문학자 에빈 판 디슈호크(Ewine van Dishoeck) 박사는 허셜(Herschel) 우주 천문대가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간 구름(interstellar clouds)에서 발생한 물의 여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천문학 &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 4월호 저널에 발표한 이번 논문은 현존하는 지식을 요약하고 잠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에서의 물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20년 동안 우주에서의 물의 여행에 대한 참고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성간 우주에서 물이 어떻게 그리고 어디서 형성되고 그것이 어떻게 마침내 지구 같은 행성에 이르게 되는지는 10년 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지상 망원경으로 관측한 데이터는 지구 대기의 수증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허셜 원적외선 우주 천문대가 수집한 데이터 분석
그래서 2009년 유럽우주국(ESA)은 원적외선 우주망원경 허셜을 발사했다. 허셜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우주에 있는 물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허셜은 2013년까지 작동했다.
허셜 우주 천문대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네덜란드가 주도해서 만든 ‘분자 사냥꾼’으로 알려진 HIFI 장비이다. 최근 몇 년 동안 허셜이 보내온 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십 편의 과학 논문이 나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주의 물의 여행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새로운 연구는 지금까지 주목을 덜 받았던 중간 단계를 포함하여 항성 생성 과정 전반에 걸친 물의 이동 경로를 설명한다.
성간 구름에서 시작하는 물의 여행. 왼쪽 위부터 오른쪽 아래으로, 차가운 성간 구름에 있는 물, 젊은 별, 초기의 행성 원반, 혜성, 그리고 외행성의 바다. 처음 3단계는 허셜 망원경이 HIFI 계측기로 측정한 수증기의 경로를 보여준다. 차가운 성간 구름과 초기 원반 신호는 젊은 별의 100배 정도 과장되게 표현됐다. ⓒ ESA/ALMA/NASA/L.E. Kristensen
관측 자료는 대부분의 물은 차갑고 질긴 성간 구름에서 작은 먼지 입자의 얼음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구름이 새로운 별과 행성으로 붕괴할 때, 이 물은 대부분 보존되면서, 빠르게 자갈 크기의 먼지 입자에 고정된다. 젊은 별 주위의 회전 원반에서, 이 자갈들은 새로운 행성을 위한 빌딩 블록을 형성한다.
연구원들은 대부분의 새로운 태양계가 수천 개의 대양을 채울 만큼 충분한 물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계산했다.
초기 허셜 우주천문대의 많은 관측 결과들은 별들이 형성되는 근처에서 눈에 잘 띄고 화려하게 생성되는 뜨거운 수증기에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그 뜨거운 물은 젊은 별에서 나오는 강력한 유출에 의해 우주로 날아가 버린다.
논문을 쓰는 동안, 연구원들은 차가운 수증기와 얼음의 화학 작용에 대해 점점 더 많은 통찰력을 얻었다. 예를 들어, 연구원들은 성간 얼음이 먼지 입자에 층층이 쌓인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행성이 태어날 때 풍부한 물 형성
미래에, 연구원들은 특히 행성계를 형성하는데 있어 우주의 더 많은 물을 연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시간이 좀 걸릴 수도 있다. 허셜에 버금가는 다음 우주 망원경은 2040년 정도에 발사될 예정이다. 2030년경에 ‘물 망원경’이 우주로 갈 가능성이 있었지만, 그 프로젝트는 취소되었다.
2021년 말에는 제임스 웹(James Webb) 우주 망원경이 발사될 것이다. 유럽~미국이 함께 참여해서 제작한 MIRI 기기를 탑재한 제임스 웹 망원경은 지금까지 손이 닿지 않는 물 로드맵의 일부를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MIRI는 행성을 형성하는 먼지 원반의 가장 안쪽 영역에서 따뜻한 수증기를 감지할 것이다. 허셜 망원경은 이미 지구와 같은 행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추적해서 보여줬다.
에빈 판 디슈호크 박사는 “물 한 잔을 마실 때, 대부분의 분자가 45억년 전에 항성과 행성이 형성되었던 구름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깨닫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라고 말한다.
(1545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온도 감응 색 변화 염료를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체온 변화를 맨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필름 타입 색 변화 멤브레인보다 체온 범위 온도에서 색 변화 민감도를 최대 5배 이상 높일 수 있다.
인류가 만든 우주망원경 중 최강을 자부해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내달 12일 첫 이미지 공개를 앞두고 29일(현지시간)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웹 망원경을 운영할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에서 브리핑을 갖고 우주에 대해 새로운 세계관을 갖는 역사적인 순간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CNN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프로그램 책임자로 이 이미지 중 일부를 본 토마스 주부큰 부국장은 웹 망원경이 공개할 첫 이미지가 과학자들에게 감격적인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판다는 거의 대나무만 먹는 까다로운 입맛을 갖고 있다. 배가 고플 땐 곤충이나 설치류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대나무가 먹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식육목 곰과 동물이다 보니 이런 식성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화석을 통해 적어도 6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증거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췌장암은 5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한 치명적인 암 중 하나다. 췌장암이 이렇게 위험한 건 무엇보다 다른 부위로 걷잡을 수 없게 전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췌장암의 전이 속도를 늦추거나 전이 자체를 중단시킬 수 있는 '분자 경로'가 발견됐다. 문제를 일으키는 건 단백질 내 아미노산의 산화 손상을 복구하는 일명 '지우개 효소'(eraser enzyme)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률이 높다. 이는 폐경 때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뇌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신경 퇴행 질환 센터 인구 보건 과학 실장 모니크 브레텔러 박사 연구팀이 남녀 3천410명(평균연령 54세, 여성 58%)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0일 보도했다.
성인 암 생존자는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심장-종양 실장 로베르타 플로리도 교수 연구팀이 1987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경화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참가자 1만2천414명(평균연령 54세)의 2020년까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9일 보도했다.
오늘은 국제 소행성의 날입니다. 소행성 충돌 위험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요청하기 위해 2016년 유엔(UN)이 공식 지정했죠. 6월 30일은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 상공에서 지름 50m급 소행성이 폭발해 2천㎢의 숲을 황폐화한 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