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팀 "열·체취로 사람 찾고 카르복실산 냄새로 공격 대상 정하는 듯"
모기는 사람 몸에서 나는 체취를 이용해 먼 곳에 있는 사람을 찾아내며 피를 빨 대상을 선택하는 데에는 체취에 섞여 있는 카르복실산 성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원 코너 맥메니먼 교수팀은 20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잠비아에 만든 1천㎡ 넓이의 실험장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세계에서 모기가 옮기는 말라리아로 해마다 50만~60만명이 숨지는 현실을 고려할 때 모기가 어떻게 멀리 있는 사람을 찾아내고 어떤 사람을 선택해 공격하는지 밝혀내는 것은 과학적으로나 보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실제 자연과 비슷한 조건에서 아프리카 말라리아모기(Anopheles gambiae)가 어떻게 멀리 있는 사람을 찾아내고 어떤 사람을 선택해 공격하는지 실험하기 위해 1천㎡ 넓이의 실험장을 만들었다.
먼저 실험장에 사람 피부 온도인 35℃로 가열할 수 있는 착지판들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착지판에 이산화탄소와 사람 체취를 공급하는 파이프를 연결했다. 이어 매일 밤 굶주린 모기 200마리를 풀어놓고 적외선 모션 카메라로 모기 활동을 관찰했다.
사람 체취는 실험장 밖에 설치된 1인용 텐트 6개에서 실제로 자는 6명으로부터 채취해 파이프를 통해 실험장 내 착지판으로 공급했으며, 각각의 체취 표본을 이용해 구성 성분도 정밀 분석했다.
먼저 모기를 유인하는데 열과 이산화탄소, 사람 체취 중 어떤 것이 중요한지 비교한 결과 모기는 이산화탄소만 공급된 가열 착지판보다 사람 체취가 공급된 착지판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6명의 체취를 이용해 모기의 냄새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모기가 특히 좋아하는 냄새가 있고 모기가 거의 다가가지 않는 냄새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사람의 냄새 성분은 밤마다 조금씩 달랐지만, 모기가 지속해서 달려드는 사람의 체취에는 피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카르복실산이 특히 많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모기가 거의 접근하지 않는 사람 체취에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인 유칼립톨이 다른 사람보다 3배나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유칼립톨 수치는 그 사람의 식단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공동 제1 저자인 스테파니 랭킨-터너 박사는 “사람들 체취에서 화학물질 40여가지를 확인했으며 그 비율은 서로 달랐다”면서 “모기의 선호도는 이들 물질의 혼합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맥메니먼 교수는 “모기는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주로 집 안으로 들어와 사람을 공격한다”며 “이 결과는 사람 냄새가 체온과 함께 말라리아모기가 사람을 찾아내고 공격 대상을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77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