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감자·쌀 등의 저항전분 함량 높여 체내 흡수 막아 국내·외 논문 37편에 특허까지…"저열량 식품 완전 제품화 희망"
“워낙 음식을 좋아하다 보니 저열량 식품의 소재를 개발하게 됐죠.”
14일 원광대학교 이창주 식품생명공학과 교수의 연구실 칠판에는 난소화성 저항전분(RS)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기록이 빼곡했다.
팀 연구 과제를 적어놓고 방향을 설정하고 있었다.
이 교수는 저열량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식품 산업에 접목하는 연구에 진심이다.
그가 국내·외에 발표한 연구 논문만 37편이고 관련 분야 특허까지 보유했다.
2021년 국제생물고분자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에 실린 논문은 SCIE급 중 상위 단계다.
옥수수, 감자, 고구마 전문에 에스터화(산을 에스터로 변하게 하는 것)한 저항전분의 구조적 특징을 조사했다.
이 저항전분과 사과산을 결합한 저분자로 소화효소의 접근을 막고 체내 흡수를 못 하게 했다.
대신 유익균을 살려 장의 건강을 증진하는 구조로, 쉽게 말해 음식을 맛있게 먹고도 살이 찌지 않는 ‘신대륙 발견’급의 연구다.
구황작물의 RS 함량을 최대 89.8%까지 끌어올리고 조리 후에도 함량에 별반 차이가 없도록 했다.
사과산 처리된 저항전분이 열을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손실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이용한 식품이 대중화하면 ‘1년 내내 다이어트 중’인 현대인에게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이 교수는 ‘사과산 처리에 의한 저항전분이 증진된 가교화 전분의 제조 방법’이라는 이름으로 특허 등록도 마쳤다.
그는 “몸에 유해하지 않고 타 물질과 결합도 잘 되는 사과산을 연구에 이용했다”며 “RS 함량을 30∼40%까지 밖에 올리지 못했던 과거 연구에 비하면 평가할 만한 성과”라고 말했다.
연구 방향은 ‘쌀’로 옮겨갔다.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 쌀이라니….
유사한 방법으로 쌀의 RS 함량이 68.2%까지 오르는 결괏값을 확인했다.
이중나선을 이루는 전분의 결정화도가 감소함에 따라 열적 특성도 감소했다.
이 교수는 말산(과실에 들어 있는 유기산의 일종) 처리된 쌀의 열 안정성이 높아 소화성이 낮은 식품 성분을 개발하는 데 용이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다만 쌀에 남는 약간의 신맛, 푸석푸석한 식감을 해결해야 한다.
이 연구 결과도 특허 심사 중이다.
이 교수는 10여년 전 CJ식품연구소 연구원이었다.
탄탄한 직장에 남부럽지 않은 연봉이었지만, 저열량 소재 개발의 꿈을 위해 장기 프로젝트가 가능한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워낙 먹는 걸 좋아했던 터라 많이 먹어도 살 안 찌는 소재와 식품을 직접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미국에서 3년 반가량 박사후연구원(포스트닥터) 과정도 거쳤다.
그는 저열량 식품의 시장 확대를 넘어 ‘완전 제품화’를 희망한다.
연구를 통해 식품의 열량을 낮춰봤자 현 시판 제품의 대체품일 뿐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는 저열량 식품이 대체품이 아닌 우리의 일상에 깊이 자리하길 바란다고 했다.
이 교수는 “가공식품에 관심이 있어 대학에서 식품공학을 쭉 공부했고 대학원에서도 저열량 탄수화물을 연구했다”며 “국내의 쌀 과잉 생산의 문제를 해결할 가루 쌀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90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집고양이나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외과적 불임 수술을 하는 대신 암고양이에게 한 번 주사하는 것으로 장기 불임을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 요법이 개발됐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