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섬유에서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오염에 경각심을 갖고 생분해가 가능한 옷을 찾는 착한 소비가 생기고 있지만 생분해를 내세우며 개발된 섬유도 실제 환경에서는 제대로 썩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의 세라-진 로이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다양한 종류의 섬유 시료를 바닷물에 담가두고 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PLOS)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다.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섬유의 약 62%는 플라스틱 섬유나 플라스틱이 혼합된 섬유로 수십년에서 길게는 수백년까지 썩지 않고 환경에 남아있게 된다.
연구팀은 식물 섬유소인 셀로룰스 기반 천연 섬유부터 PLA와 석유 기반 섬유, 혼합 섬유 등 총 10종의 섬유 시료를 철망 안에 담아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아 연안의 해수면과 10m 깊이 바닥의 바닷물에 담그고 주 단위로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셀룰로스 기반 천연섬유는 한 달 이내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분석을 통해서도 단순한 기계적 마모가 아니라 이산화탄소(CO₂)를 배출하는 등의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분해되는 것이 확인됐다.
이와 달리 PLA와 석유 기반 섬유, 천연섬유가 일부 섞인 혼합 섬유 등은 14개월에 걸친 실험 기간 내내 분해되는 징후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로이어 박사는 “이번 결과는 ‘썩을 수 있다는 것'(compostability)이 환경적으로 분해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면서 “썩는 플라스틱을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언급하는 것은 환경 내에서 분해되는 물질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PLA 기반 플라스틱이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썩는 플라스틱이 되려면 적절히 통제된 시설이 있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대형 두엄더미처럼 고온이 형성된 곳에서는 PLA가 젖산으로 분해되지만,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분해가 일어나지 않거나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다.
논문 책임저자인 스크립스 연구소 해양생물학자 디미트리 데헤인 박사는 “플라스틱과 관련한 용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PLA와 같은 바이오플라스틱은 ‘바이오'(bio)라는 접두사가 붙어 환경에서 생분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지만 실제와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PLA처럼 생분해가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 물질이 실제 자연환경에서도 그런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합성섬유 플라스틱 오염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에게 구매하는 상품의 소재에 관해 제대로 알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67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