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과학자들이 창이 5호가 달에서 가져온 암석 표본을 분석한 결과, 달이 지금까지 생각해 왔던 것과는 다른 열적·화학적 진화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밝혀졌다.
달 표면에서 채취한 현무암의 일종인 이 화산암 표본은 직접 연대를 측정한 것 가운데 가장 최근의 것으로, 약 20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현무암을 분석하면 달의 구성과 수분 함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는 달의 지질학적 및 지화학적 진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 19일 자에 세 편의 논문으로 발표됐다.
발사된 뒤 CZ-5 로켓을 분리하는 중국의 창이5호 달 탐사선 © WikiCommons / China News Service
창이 5호가 가져온 달 표본 분석, 3편의 논문으로 발표
지난 해 11월 23일 중국 하이난 섬 웬창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무인 달 탐사선 창이5호(嫦娥五号)는 12월 17일 약 1.73kg의 달 물질을 채취해 지구로 귀환했다. 이는 미국 아폴로 계획과 소련의 루나 달 탐사 임무를 통해 달 물질을 지구로 가져온 지 40여 년 만에 이뤄진 세 번째 성과다.
창이5호의 달 착륙 지점은 조성 연대가 가장 ‘젊은’ 어두운(mare) 현무암 지대 중 한 곳으로, 화산 폭발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 화산암들을 분석하면 여기에 기록된 달의 열적(thermal), 화학적 진화 역사를 알 수 있다.
이전의 달 표본에 대한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결과는 대부분의 달 화산 활동이 약 29억~28억 년 전에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었다.
행성 표면의 나이를 계산하는 다른 방법인 분화구-계산 연대(crater-counting chronology) 측정으로는 30억~10억 년 전 사이에 달의 화산 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달의 화산 활동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랫동안 지속됐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보정(calibration)을 해볼 수 있는 회수된 표본이 없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달 ‘폭풍의 바다’ 서안에서 지각 활동이 있었을 때를 상상해 그린 그림 © NASA/Colorado School of Mines/MIT/JPL/GSFC
“달의 화산 활동, 8억~9억 년 더 오래 지속돼”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과학원 지리학 및 지구물리학 연구소(IGG) 리 샹화(LI Xianhua) 박사팀은 이번에 가져온 달 표본 분석을 통해 이 표본이 20억 3000만 년 전 것이며, 따라서 달의 화산 활동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8억~9억 년 더 오래 지속됐고, 이는 달의 내부가 약 20억 년 전에도 여전히 진화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리 박사팀이 추정한 현무암의 연대는 정확도 높게 측정됐고, 같은 지역에서 나온 표본에 대한 최근의 분석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기록됐다.
리 박사는 “이번 발견은 달의 내부가 계속 진화하고 있던 시간을 약 40억 년 전에서 20억 년 전으로 앞당겼다”고 밝혔다. 달 현무암의 이 새로운 연대는 또한 분화구-계산 연대 모델을 잘 보정함으로써 태양계 안 다른 행성 표면의 나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21년 9월 중국 에어쇼에서 전시된, 창이5호가 달에서 채취해 온 토양 표본 © WikiCommons / China News Service
“달의 열적 진화에 대한 새로운 모델 탐구에 기여”
‘네이처’ 지의 두 번째 논문에서는 IGG의 후 센(HU Sen) 박사팀이 현무암 표본의 물 조성을 분석해 발표했다. 달 내부의 물 분포는 화산 활동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됐는지와 함께, 맨틀 형성과 화산 활동을 일으킨 과정에 대한 단서를 포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창이 5호가 가져온 20억 년 된 현무암의 모 마그마(parent magma)가 40억~28억 년 전에 분출된 더 오래된 화산 지역의 현무암 표본들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더 젊은 현무암의 모 마그마가 장기간 지속된 화산 활동 중에 탈수됐고, 이는 달의 화산 활동이 적어도 20억 년 전까지 지속됐다는 개념과 일치한다고 제안했다.
리 박사와 후 박사팀 그리고 양 웨이(YANG Wei) 박사팀은 또한 ‘젊은’ 현무암의 원천이 예상보다 낮은 수준의 열 생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발견은 달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천천히 냉각돼 맨틀 역학에 영향을 미쳤음을 가리킨다. 양 박사팀의 이런 연구 결과는 달의 열적 진화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탐구하는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323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자체 기술로 2031년 달 표면에 우주선을 보내 착륙시킨다는 계획을 추진함에 따라 이를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최근 이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11일 과기정통부와 전문가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2030년에 차세대 발사체 성능 검증을 위한 발사가, 2031년에 달 착륙선을 보내기 위한 발사가 각각 예정돼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꽃향기가 분비되는 것을 실시간 측정해 가시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기계공학과 유체 및 계면 연구실 김형수 교수와 생명과학과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 간섭계로 휘발성 유기물 증기(VOCs)의 상대 굴절률을 측정해 백합에서 나오는 꽃향기를 직접 측정해 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3월 제76차 유엔총회에서 매해 5월 12일이 '세계 식물건강의 날'로 지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가 회원국인 식물검역 국제기구 '국제식물보호협약'(IPPC)이 2020년부터 세계 식물건강의 날의 유엔 지정을 추진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