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 3일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한 중국 달 탐사선 창어 4호와 무인탐사 로버 위투(옥토끼) 2호가 그동안 탐사한 달의 지질학적 조사 결과가 최근에 공개됐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된 이 연구결과는 중국과학원과 이탈리아 연구진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창어 4호는 에이트겐 분지라고 불리는 달의 남극 근처의 흥미로운 지역을 목표로 하고 있다. 39억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약 2500㎞에 걸쳐 있는 그곳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충격 분화구로서, 지구를 비롯한 다른 행성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이해하는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창어 4호의 착륙지는 에이트겐 분지 안에 있는 폭 186㎞의 폰카르만 분화구 평원이다. 근처에는 약 32억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폭 72㎞의 핀센 분화구를 비롯해 몇몇 다른 분화구들이 있다.
창어 4호에서 촬영한 위투 2호의 이동 모습. ⓒ CNSA / CLEP
창어 4호는 착륙 직후 달 지표투과레이더(LPR)를 이용해 그곳의 지하를 조사하기 위해 위투 2호를 배치했다. 위투 2호의 LPR은 500㎒의 고주파 채널로 전파 신호를 달 표면 깊숙이 보내 지하 40m까지 도달했다. 이 데이터를 통해 연구자들은 지표면 아래층의 대략적인 이미지를 그려낼 수 있었다.
달의 지표 아래를 지도화하면 천체 충돌과 매립된 분화구 등에 의해 이루어진 태양계 역사의 숨겨진 면모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달의 지표 아래는 식수 및 로켓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에서부터 인류 정착지로 적합한 용암 동굴에 이르기까지 향후 달의 개발에 유용한 요소들이 감춰져 있다.
지하 12m까지는 먼지층
LPR로 달의 지표 아래를 측정한 결과, 지하 12m까지는 달의 먼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레골리스(regolith)’라고도 불리는 달 먼지는 수십억 년 전 소행성이 달의 표면에 충격을 가한 후 가라앉은 분쇄된 암석의 알맹이 같은 물질이다.
레골리스에 관한 연구는 달 탐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우주선이 달 표면에 착륙할 때 각종 기기에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여성 우주인으로서 세계 최장 우주체류 기록을 지닌 페기 휘트슨은 “인류가 달에 영구적인 거주지를 건설하려면 달 먼지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부터 알아내야 한다”고 밝혔다.
위투 2호의 지표투과 레이더를 분석해 만든 달 지표면 아래 3개 층의 구성도. ⓒ CLEP/CRAS/NAOC
레골리스 층 아래인 지하 12~24m의 층에는 지름 0.2~1m 크기의 작고 큰 암석들이 뒤섞여 있었다. 암석들의 충격으로 날아와 정착한 암석들이다. 그보다 더 밑인 지하 24~40m는 암석이 적은 대신 미세한 알갱이와 거친 돌들이 섞여 있는 층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화산 활동과 소행성 충돌의 영향으로 땅속 물질이 분출돼 솟아오르면서 이처럼 3개의 층을 형성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달 전문 과학자인 미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다니엘 모리아티는 이에 대해 “달 표면에서 일어나는 두 가지 실제적인 큰 규모의 지질 활동은 충격 분화구와 화산 활동뿐인데, 이 두 가지 증거를 모두 보여준 탐사 결과”라고 주장했다.
전파망원경으로 변신한 췌차오호
2013년 달의 앞면에 착륙한 창어 3호도 달 지표 아래를 측정했다. 하지만 창어 3호가 관측한 달 앞면과 이번에 창어 4호가 관측한 달 뒷면의 지표 아래 암석과 토양의 구성은 완전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논문의 저자인 리춘라이 중국과학원 국가천문대 부국장은 “창어 4호의 레이더 침투가 창어 3호보다 훨씬 더 크고 투명하며, 이러한 관측은 두 착륙지에 대해 전혀 다른 지질학적 구성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무인탐사 로버 위투 2호는 앞으로도 계속 폰카르만 분화구의 표면을 가로지르며 정기적으로 측정 결과를 보내올 예정이다. 창어 4호 관련 연구진은 그 같은 데이터를 이용해 달의 오래된 충돌 역사에 대해 보다 미묘한 세부 사항을 밝혀내고, 지표면 아래층의 잔해들이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창어 4호는 감자와 누에고치 등을 달에서 재배할 수 있는지도 시험할 계획이다. 위투 2호를 이용해 온실을 만든 후 감자가 자랄 수 있는지 시험하고 누에고치 알을 부화시켜 중력이 낮은 달에서 생명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본다는 것이다.
한편, 달의 뒷면에 착륙한 창어 4호와 지구 관제소 간의 통신 중계 위성 역할을 해온 췌차오호는 안테나를 펼친 후 전파망원경으로 변신했다. 빅뱅 직후 발생한 우주 초기의 미약한 빛을 탐색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전파망원경이 된 췌차오호가 달 너머에서 전파 간섭을 받지 않고 저주파 신호를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283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비타민K는 몸 안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K는 식물에서 주로 합성되는 K1(필로퀴논)과 장(腸) 박테리아가 만드는 K2(메나퀴논) 두 종류가 있다. 비타민K는 혈액의 응고와 뼈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타민K가 부족하면 지혈 장애나 뼈 손실이 올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혈전 위험이 커진다.
국제천문연맹(IAU, 이하 '연맹')은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짓는 국제공모전을 8일 연다고 밝혔다. 연맹은 이날 오전 연맹 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제공모전 'NameExoWorlds 2022'(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소개했다. 연맹은 이 공모전을 통해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별)과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구성된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치유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다. 한마디로 염증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 유발 물질의 분비를 일컫는 말이다. 만성 염증은 심장 판막과 뇌세포를 손상하면 심장병과 뇌졸중이 나타난다. 또 인슐린 저항을 촉진해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비타민D의 결핍이 만성 염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70여년 사이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된 500여 건의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해보니 전체의 71%가량에서 인간이 영향을 미친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의 기후 정보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가 수집한 1850년부터 올해 5월 사이의 이상기후 현상 504건에 대한 연구 보고서 4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전했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거나 기후변동의 폭이 커진 사례가 전체의 3분의 2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5일(한국시간) 미국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우주인터넷 실험과 달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한 관측 등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은 다누리가 달 상공 100km 궤도에 올해 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부터 이뤄질 예정이며, 기간은 내년(2023년) 초부터 말까지 1년간으로 계획돼 있다. 다만 남은 연료의 양에 따라 단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