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의 물질대사를 이해하면 혈관질환과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분해나 합성 같은 모든 화학적 변화를 뜻하는 물질대사는 세포가 에너지를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여태껏 많은 기술이 수만 개의 세포에서 물질대사 과정을 측정했다. 하지만 단일세포 수준에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미국 시카고대학 연구진은 처음으로 세포 및 세포 이하 수준에서 대사 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징 및 머신러닝 복합 기술을 개발했다. ©Fang Lab(University of Chicago)
그런데 미국 시카고대학 연구진은 처음으로 세포 및 세포 이하 수준에서 대사 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징 및 머신러닝 복합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인공지능과 함께 유전적으로 암호화된 바이오센서를 사용해 혈관을 이루는 단일 내피세포의 해당(解糖, glycolysis)을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이란 포도당을 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이다.
그 결과 연구진은 내피세포들이 움직이고 수축할 때 더 많은 포도당을 사용하며,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수용체를 통해 포도당을 흡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면 코로나19를 포함해 암과 혈관질환에 대한 더 나은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물질대사(Nature Metabolism)’ 최신호에 발표됐다.
세포 및 세포 이하 수준에서 해당 반응 분석
이번 연구의 저자 중 한 명인 준 황(Jun Huang) 교수는 “세포 대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라며 “단일세포의 물질대사를 측정함으로써 광범위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게 됐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세포 대사를 세포 이하 수준에서 다양한 시간적·공간적 규모로 시각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내피세포는 혈관 내부에 단단한 층을 제공하지만, 면역체계의 도움이 필요할 때는 수축하여 층 내에 틈새를 남긴다. 이 같은 비정상적인 수축은 혈관이 새는 원인이 되어 심장마비나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폐 주변의 혈관이 수축하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이는 중증 코로나19 환자들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수축을 촉진하는 세포의 물질대사 방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연구진은 형광공명에너지전이(FRET) 센서를 이용해 세포 내부의 젖산 양을 측정했다. 젖산은 해당 과정의 부산물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진은 머신러닝 알고리즘과 FRET 센서를 결합해 세포 이미지, 데이터 분석, 세포 및 세포 이하 수준에서의 해당 반응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해당 과정이 증가하는 세포의 특정 영역과 같은 세포 내의 세부 사항을 보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진은 세포가 수축하고 움직일 때 사용된 포도당의 양을 측정할 수 있었고, GLUT3라고 불리는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포도당 수송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중증 코로나19 치료제 테스트 중
세포 수준에서 해당 과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면 이 과정을 억제하는 치료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죽상 동맥경화증 환자의 혈관이 새거나 면역체계가 코로나19에 과잉 반응하는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수축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면 코로나19 환자의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는 암 치료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해당 과정에 의해 유도되는 내피의 이동 및 증식은 종양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혈관 성장의 주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면 종양을 파괴하거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양과 싸우기 위해 신체의 면역체계를 동원하는 CAR-T 세포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다. 이 치료법은 일부 환자의 생명을 구했지만, 많은 환자는 이에 반응하지 않는다.
미국 시카고대학의 준 황(Jun Huang) 교수.
내피세포는 T세포가 종양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며, 세포 대사는 T세포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연구진은 세포 대사를 조절하게 되면 더 나은 면역치료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연구진은 시카고에 있는 미국 국립핵물리학연구소인 아르곤국립연구소에서 코로나19의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는 억제제를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준 황 교수는 “궁극적으로 물질대사를 통해 세포를 재프로그래밍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물질대사의 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엄청난 잠재력이 있으며 이번 연구는 시작에 불과하다”라고 밝혔다.
(135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자체 기술로 2031년 달 표면에 우주선을 보내 착륙시킨다는 계획을 추진함에 따라 이를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최근 이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11일 과기정통부와 전문가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2030년에 차세대 발사체 성능 검증을 위한 발사가, 2031년에 달 착륙선을 보내기 위한 발사가 각각 예정돼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꽃향기가 분비되는 것을 실시간 측정해 가시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기계공학과 유체 및 계면 연구실 김형수 교수와 생명과학과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 간섭계로 휘발성 유기물 증기(VOCs)의 상대 굴절률을 측정해 백합에서 나오는 꽃향기를 직접 측정해 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3월 제76차 유엔총회에서 매해 5월 12일이 '세계 식물건강의 날'로 지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가 회원국인 식물검역 국제기구 '국제식물보호협약'(IPPC)이 2020년부터 세계 식물건강의 날의 유엔 지정을 추진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