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별세포가 주변 신경세포에도 영향…가바 과다 분비"
뇌졸중으로 인해 뇌의 다른 부위까지 손상되는 ‘기능 해리'(Diaschisis)의 기전이 밝혀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광주과학기술원(G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 연구팀이 뇌 속 ‘별세포’의 변화가 뇌졸중 후 발생하는 기능 해리의 핵심 요소임을 규명했다고 8일 밝혔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혈액을 공급받지 못해 뇌 부위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손상 부위에 따라 운동·언어·의식 장애 등 다양한 후유증이 남는다.
뇌졸중은 발생 부위뿐 아니라 멀리 있는 다른 부위에도 기능적 손실을 일으키는데 이를 기능 해리라고 한다.
기능 해리가 나타난 부위는 뇌 신경세포들의 활동성이 낮아져 뇌 대사 감소,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나지만 그 발생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뇌 속 별세포가 다른 신경세포의 활성과 대사를 억제해 기능 해리를 일으키는 원리를 밝혔다.
별세포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다.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한 상태의 ‘반응성 별세포’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중풍 등 뇌 질환의 원인이 된다.
반응성 별세포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를 과도하게 분비해 주변 신경세포의 활성과 대사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뇌의 백질부에 뇌졸중을 유도한 생쥐의 뇌를 관찰한 결과, 멀리 있는 운동피질에 가바가 과생성돼 뇌의 기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즉 뇌졸중이 일어나면 반응성 별세포가 가바를 과다 분비해 주변 신경세포의 기능을 저하하고, 기능 해리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마오비 억제제(별세포의 가바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를 투여한 결과 별세포의 가바 분비가 줄어들면서 운동 피질의 기능 해리 현상이 완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창준 단장은 “뇌졸중뿐만 아니라 편두통, 뇌종양, 뇌염 등 다양한 뇌 질환에서 나타나는 기능 해리의 유발 원리를 밝혔다”며 “뇌 질환 후유증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 이날 자에 실렸다.
(26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