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도가 생명인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히 가려내는 검사 방법이 개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공동연구를 통해 농약 511종을 3시간 안에 분석할 수 있는 신속 검사법을 개발해 농산물의 생산·유통·수입 단계 검사에 모두 적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농산물은 생산, 유통, 소비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 공급을 위해서는 잔류농약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험법이 요구된다.
새로 개발된 잔류농약 신속 검사법은 가려낼 수 있는 농약 종류가 기존 473종에서 511종으로 늘어났다. 외국에서 사용되는 농약 종류도 포함됐다.
분석시간도 기존 7시간에서 3시간으로 단축됐고, 시약 사용량도 10분의 1 수준으로 절약된다.
기존에는 같은 농산물이라도 생산·유통·수입 단계별로 다른 시험법이 적용됐지만, 동일한 시험 방법이 적용돼 일선 검사기관의 업무 효율성도 향상될 것으로 식약처는 내다봤다.
또 개발 시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시험법 개발 가이드라인’을 준수해 국제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의 정확성도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내달 새 검사법을 고시한 뒤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18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정부는 10월 누리호 발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
정부가 연구개발(R&D) 사업이 끝난 뒤에도 연구진의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감을 제작하고 성과 추적조사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중견연구·신진연구·생애첫연구·재도약연구 등에 2천647개 과제를 새로 선정, 3월부터 연구할 수 있게 3천657억원을 지원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주차 로봇'에 대한 실증이 시작된다.
스마트 교차로·사물인터넷 서비스망·공유와이파이 플랫폼 구축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함께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와 산업 간 융합을 통해 개발된 혁신 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D·N·A 대중소 파트너십 동반진출' 사업을 시작한다.
광주 자치구 보건소에 인공지능(AI) 의료 시스템이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