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 잠입한 사타] 실패에서 얻어낸 KSTAR의 새로운 성과, 차세대 FIRE모드란?
연이어 세계 신기록을 갱신해 온 한국의 핵융합로 KSTAR가 네이처지에 게재되어 또다시 그 우수성을 입증했다. ©GettyImagesBank
핵융합 에너지는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미래 에너지로써 많은 선진국들이 개발하고 있는 주요 기술이다. 그중에서도 한국의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KSTAR는 첫 가동 이후 꾸준히 세계 신기록을 갱신해가며 그 우수성을 널리 입증해왔다. 특히 9월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지에 게재된 새로운 핵융합 운전방식(FIRE모드)는 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서울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것으로 국제적인 이목을 끌었다.
지구 모든 생명의 근원인 태양은 중심에서 일어나는 핵융합을 통해 지구는 물론 태양계 곳곳을 비추는 대량의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하여 무거운 원자핵이 되는 핵융합반응 과정에서는 줄어든 질량만큼 에너지로 바뀌는데(E=mc²), 태양 역시 수소 원자핵들이 충돌하여 헬륨 원자핵으로 융합되며 발산하는 에너지가 원천이다.
지구에서 실험하는 핵융합 반응은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핵융합반응으로, 엄밀히 따지자면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과정과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원리이다. 이 때문에 핵융합로를 ‘인공태양’이라 부르기도 한다. 지구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태양과 같은 초고온의 환경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등 여러 어려움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선진국들이 꾸준히 핵융합 에너지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지구에서 구현하는 인공태양, 핵융합 반응은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연료로 이용한다. 기존 핵분열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희귀원소 우라늄과는 달리,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얻기에 매우 용이하다. 중수소는 바닷물을 전기분해 해서 얻을 수 있고, 삼중수소는 리튬을 핵융합로에 투입시켜(중성자와 반응) 얻을 수 있다. 지구 표면의 70% 이상이 바닷물이며 리튬 또한 매장량이 풍부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연료는 거의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핵융합 에너지는 온실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은 물론, 기존 원자력 발전소와는 달리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나 폭발위험 등이 없는 ‘안전한 녹색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한국을 포함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일본, 중국, 인도 등 핵융합 선진국 7개국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등 국제적 협력을 통해 개발 및 상용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7% 이상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하고 에너지 기술을 갖는 것이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핵융합로의 기본적인 원리는 ‘토카막’이라는 도넛모양의 진공 용기에 고온의 플라즈마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기존에 가장 대표적인 플라즈마 운전 방식은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모드, H-모드(High Confinement mode)이다. 초전도 핵융합장치 중에는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가 2010년 세계 최초로 H-모드를 달성한 바 있다.
한국 초전도 핵융합장치(KSTAR)의 외부(위)와 내부(아래) 모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H-모드는 1982년 독일의 핵융합연구장치(ASDEX) 토카막에서 실험 중, 외벽 근처에서 플라즈마를 가두고 제어하는 성능이 갑자기 2배 이상으로 좋아지는 현상에서 착안했다. 이후 플라즈마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린 H-모드는 핵융합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며 현재까지도 기준 지표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H-모드는 플라즈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장벽을 이용하기에, 가장자리의 압력이 임계치를 넘어서 풍선처럼 터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 현상, ELM(Edge Localized Mode)라 하는데, 핵융합로 내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이니만큼 그 해결이 많은 핵융합 연구자들의 핵심 과제다. 그런데 한국 KSTAR에서 2011년 세계 최초로 이 불안정 현상을 제어한 데에 이어, 애초에 불안정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운전 방식(모드)를 새롭게 개발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한현선 박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과 서울대학교 나용수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핵융합 운전모드를 개발, 네이처 지에 발표했다. 흥미로운 점은 공동연구팀이 처음부터 함께 해당 연구를 수행했던 것이 아니라, 각각 별도의 연구를 수행하던 중 같은 결과를 확인하고 협력을 시작해 성과를 일궈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서울대 나용수 교수는 “예측한 대로 실험이 진행되지 않았던 실패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다가 새롭게 얻어진 창의적인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각 연구팀은 특정 상태(upper single null)의 플라즈마에서 밀도를 낮추었을 때, 높은 플라즈마 성능과 1억 도가 넘는 온도(이온온도)를 확인했다. 이러한 성능향상에 대해 KSTAR 데이터 분석과 시뮬레이션 검증을 통한 구체적인 분석을 함께 수행했고, ‘고속이온’을 통한 새로운 운전모드, FIRE(Fast Ion Regulated Enhancement)를 개발했다.
연구팀에서 새롭게 개발한 FIRE모드는 상대적으로 낮은 플라즈마 밀도에서 중심부에 가열을 집중하는 방법으로, 플라즈마를 가열해 발생한 고속이온이 플라즈마 내부의 난류를 안정화시켜 플라즈마 온도와 지속시간 등의 성능이 급격히 향상된다. FIRE 모드는 기존 H-모드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는 동시에 단점인 불안정(ELM)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데다, 복잡한 운전방식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플라즈마 내 불순물이 축적되지 않는 등 미래 핵융합 상용로 운전 기술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322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