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1월 평균 기온이 1.4도로 도내 기상관측 이후 최고를 기록하는 등 올겨울 지나치게 포근한 날씨가 이어짐에 따라 도내 과수 농가에 병충해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도내 올겨울(12월 1일∼2월 19일) 최저기온이 평년보다 3.3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등과 같은 돌발해충의 부화율이 전년보다 높아질 전망이다.
과수에 무리 지어 붙어 양분을 빨아먹고, 배설물로 그을음병을 유발해 작물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미국선녀벌레의 도내 발생 면적과 발생 시·군이 매년 늘어나는 상황이라 올해는 더욱 꼼꼼한 방제가 필요하다.
도내 돌발해충 발생 면적은 2015년 9개 시·군 28.4㏊에서 2016년 11개 시·군 61.5㏊, 2017년 16개 시·군 131.5㏊, 2018년 16개 시·군 750.2㏊로 급격히 늘고 있다.다만 2019년은 연초 잦은 한파로 평균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14개 시·군에서 509㏊의 피해가 났다. 이는 2018년보다 241.2㏊ 줄어든 수치다.
도농업기술원은 올해 돌발해충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각 시·군에서 꽃매미와 갈색날개매미충의 월동란을 채집해 부화율을 조사하고 있다.
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부화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산란양"이라며 "올해는 피해 면적이 더 넓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도와 시·군 산림 관련 부서와 협업 방제를 늘려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따뜻한 겨울은 역설적으로 동해 등 과수 저온 피해 위험을 높이고 있다.
도농업기술원은 노지 월동 과수가 지난해보다 한달가량 일찍 잠에서 깰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과수가 휴면에 깊이 들면 추위에 잘 견디는 편이나, 올겨울처럼 평년보다 포근한 날씨가 지속하면 복숭아 등 주요 과수가 일찍 깨면서 기습 한파와 꽃샘추위가 닥쳤을 때 동해·저온 피해에 약해지기 쉽다.
도내 대부분 지역의 과수가 휴면에서 일찍 깨어나 내한성이 급격히 저하된 상태로, 한파가 닥치면 동해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예방이 필요하다.
과수 동해 예방을 위해서는 내한성이 약한 복숭아 등 과수 묘목의 주간부(원줄기)에 흰색 수성페인트를 바르거나 짚 등 피복 자재를 덮어줘야 한다.
주간부가 얼어 껍질이 터진 나무는 노끈이나 고무밴드 등으로 묶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동해 상습지역에서는 전정 시기를 늦추거나 작목을 전환하고, 서리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꽃눈을 20∼30% 정도 더 남기고 전정해야 한다.
원재희 원예연구과장은 "기후변화로 도내 과수 재배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겨울철 동해 예방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며 "동해 피해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 시·군 농업기술센터나 농업기술원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0-02-2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