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STEAM융합연구사업 미개척분야 발굴 보고회
정부가 글로벌 기술 패권 시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미개척 분야 융합 연구 지원을 내년부터 다시 늘리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liberal Arts, Mathematics) 융합연구사업 본격 재추진을 위해 30일 서초구 엘타워에서 ‘STEAM융합연구사업 미개척분야 발굴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보고회에는 용홍택 과기정통부 1차관을 비롯한 산학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STEAM 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자 지난 2011년부터 추진됐으나 2017년 일몰사업으로 지정돼 최근까지 신규 과제가 거의 선정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는 중장기 융합 R&D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지난해 5월 구조 개편을 조건으로 일몰관리 혁신 대상에 STEAM 사업을 선정했으며 내년 사업 재개를 목표로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을 개편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STEAM 연구사업을 통해 매년 2회 미개척 분야를 발굴해 20∼30개의 신규 연구과제를 선정하기로 했다. 신규 연구과제는 과제당 1년간 6∼12억원(5년 내외)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내년 신규 연구과제는 ▲ 기술·산업 패러다임 변화 대응(DNA메모리 등) ▲ 신 기후체제 이행체계 구축(무전력 공기정화 식물로봇 등) ▲ 미래 안전·안심사회 준비(IoT 기반 재해 분석·예측) ▲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고복원율 극저온 동결기술) 등의 분야로 압축됐다.
신규 연구 과제는 향후 전문가 정밀 검증 과정을 통해 내년 상반기에 공고된 뒤 구체적인 시행계획이 나올 예정이다.
용 차관은 “기술 패권 경쟁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융합을 통해 유망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며 “유망 기술이지만 현 시점에 관심이 부족한 미개척 분야를 찾아 내년부터 본격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13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비타민K는 몸 안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K는 식물에서 주로 합성되는 K1(필로퀴논)과 장(腸) 박테리아가 만드는 K2(메나퀴논) 두 종류가 있다. 비타민K는 혈액의 응고와 뼈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타민K가 부족하면 지혈 장애나 뼈 손실이 올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혈전 위험이 커진다.
국제천문연맹(IAU, 이하 '연맹')은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짓는 국제공모전을 8일 연다고 밝혔다. 연맹은 이날 오전 연맹 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제공모전 'NameExoWorlds 2022'(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소개했다. 연맹은 이 공모전을 통해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별)과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구성된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치유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다. 한마디로 염증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 유발 물질의 분비를 일컫는 말이다. 만성 염증은 심장 판막과 뇌세포를 손상하면 심장병과 뇌졸중이 나타난다. 또 인슐린 저항을 촉진해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비타민D의 결핍이 만성 염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70여년 사이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된 500여 건의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해보니 전체의 71%가량에서 인간이 영향을 미친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의 기후 정보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가 수집한 1850년부터 올해 5월 사이의 이상기후 현상 504건에 대한 연구 보고서 4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전했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거나 기후변동의 폭이 커진 사례가 전체의 3분의 2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5일(한국시간) 미국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우주인터넷 실험과 달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한 관측 등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은 다누리가 달 상공 100km 궤도에 올해 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부터 이뤄질 예정이며, 기간은 내년(2023년) 초부터 말까지 1년간으로 계획돼 있다. 다만 남은 연료의 양에 따라 단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