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9일 ‘6차 평가 보고서(AR6) 제1 실무그룹 보고서’를 공개했다.
지구 온도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는 내용이다. 3년 전 IPCC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경우 2050년에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1.5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는 당시 예측 시점보다 최대 12년 앞당겨진 시점에 지구 온도가 1.5도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폭염 등 극한 고온 현상이 이 기간에 산업화 이전보다 8.6배 늘어날 것이라며, 즉각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과학자들이 최근 지구 평균온도 상승과 기상이변과의 연관관계를 지목하며, 더 큰 재난을 막기 위해 빠른 대처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은 캐나다에서 발생한 산불 현장. ⓒWikipedia
남극 등 지구 전역에서 최고 기온 갱신
보고서의 비관적인 내용이 공개된 후 사람들의 관심은 온도 상승과 기후변화 사이의 연관성에 쏠리고 있다.
최근 지구촌에 이어지고 있는 폭염, 이에 따른 산불, 또 다른 곳에서 이어지고 있는 대규모 홍수 등 극심한 기상이변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주요 언론들은 기온 상승이 어떤 과정을 거쳐 기상이변을 일으키고 있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최근 북미를 비롯 세계 곳곳에서 지속되고 있는 뜨거운 폭염이 대표적인 경우다. ‘BBC’는 영국 기상청 최근 데이터를 인용, 열돔 현상(heat dome)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뜨거운 열기가 야구장의 돔처럼 특정 지역 대기를 감싸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서부 캐나다와 미국의 기록적인 폭염은 이 열돔 현상에 의해 더 길고 더 강렬해졌다는 것. 수 주 전 평년보다 높은 해수 온도로 인해 태평양 폭풍(Pacific storm)이 하늘 위의 공기흐름인 제트기류를 방해했다.
그 결과 모든 흐름이 급격히 느려지고 고기압 지역에서는 뜨거운 공기가 아래로 밀려 내려와 제자리에 갇히면서 온도가 급격히 치솟는 현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캐나다 서부 리턴(Lytton)의 기온은 섭씨 49.6도로 이전 기록보다 5도나 상승했다.
‘세계 기상 원인 분석(WWA)’ (World Weather Attribution)‘ 네트워크에 따르면 이러한 강렬한 폭염은 기후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북극의 더 높은 온도로 인해 제트기류가 느려지면서 열돔 현상을 가속화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 이례적인 더위는 북미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러시아에서는 기온이 1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북아일랜드는 같은 주에서 세 번이나 기록을 갱신했으며 남극 대륙 역시 최고 기온을 갈아치우고 있는 중이다.
극단적 가뭄‧홍수‧폭풍 등에 대비해야
문제는 폭염이 더 강해지고 길어질수록 가뭄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구 곳곳에서 폭염이 이어지면 비가 적게 내리게 되고 그 결과 지상의 수분이 고갈돼 지하수 량은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지면이 가열되면서 더 강렬한 열을 발생시키고, 그 위에 있는 공기가 더워지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그 결과 과거에 볼 수 없었던 극도의(extreme) 예외적인(exceptional) 가뭄이 지금 현실이 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 산불은 땅과 그곳에 사는 식물들로부터 점점 더 많은 수분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로 인해 발생하는 건조한 상황은 또 다른 산불을 불러오면서 놀라운 속도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양상은 산불이 폭발적으로 확산되면서 ‘적란운( pyrocumulonimbus clouds)’을 형성하며 자체적인 기상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구름으로 인해 더 많은 번개가 치고 더 많은 불을 지피고 있다.
실제로 지난 수십 년 동안 대규모 산불 빈도는 계속해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그룹인 클라이메이트 센트럴(Climate Central)에 따르면 미 서부 40 제곱킬로미터 이상 지역에서 산불 빈도가 1970년 대비 7배 이상 늘어났다.
한편 지구 다른 곳에서는 더 많은 수분을 떨어드리는 극심한 강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 IPCC 보고서는 계절풍에 따름 몬순(monsoon) 폭우가 향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서아프리카 등에서 향후 수년 동안 파괴적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허리케인과 태풍 사이클론이 더욱 강력해지고 최고 풍속이 증가하면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범람이 더욱 광범위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는 해안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극심한 피해를 의미한다.
올 여름은 세계적으로 지구 대기 속에 응축돼 있던 열이 한꺼번에 분출한 해로 기록되고 있다. 고르지 않게 축적돼 있던 에너지가 극단적으로 폭발하면서 최근 벌어지고 있는 기상이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지 않으면 앞으로 더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파괴적인 주기가 계속되지 않도록 능동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335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신 중 뇌전증(간질) 치료제인 발프로산(valproate) 등 일부 항경련제에 노출된 아이는 나중에 정신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