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행기 혁신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양 부문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 비행기, 극초음속 비행기, 바이오 비행기 등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비행기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11일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전기 추진(Electric propulsion)으로 움직이는 비행기다. 그동안 피스톤식 터빈으로 움직이던 비행기들과는 달리 전기로 비행이 가능하다.
이 비행기가 선보인 것은 지난 2014년이다. 유럽의 에어버스(Airbus)는 전기비행기 이팬(E-Fan)을 개발한 뒤 베를린 에어쇼에 선보였는데 100% 전기 동력으로 운행이 가능한 2~4인용 소형 전기 비행기를 선보였다.
전기 비행기, 극초음속 비행기, 바이오 비행기 등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비행기들이 연이어 등장하면서 기존의 항공문화를 바꿔놓고 있다. 사진은 에어버스에서 개발한 전기비행기 이팬(E-Fan). ⓒAirBus
2022년에 12인승 전기 비행기 출현
2인용 모델의 경우 2개의 전기모터가 달려 있었는데 시간당 220km의 속도로 45분~60분 정도 비행이 가능했다. 그리고 지금 많은 기업들이 전기 자동차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보잉, 제트블루는 지난 4월 전기비행기 스타트업 주넘(Zunum)에 공동 투자했다.
이번 주에는 주넘을 통해 오는 2022년까지 전기 모터를 채용한 근거리용 전기비행기를 제작하겠다고 밝혔다. 새로 선보일 모델은 12명까지 탑승이 가능하며, 연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하비브리드 모델로 1000km 이상의 비행이 가능하다.
주넘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전기비행기가 등장할 경우 시간과 비용 절약이 가능해 비행기 대중화가 가능해지고, 교통 혼잡 문제는 물론 비행기로 인한 공해와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등 비행기 개념을 바꿔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소리보다 5~10배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음속과 비교해 5배가 넘을 때 극초음속(Hypersonic)이라고 한다. 지난 2015년 에어버스 인더스트리는 극초음속에는 약간 못 미치지만 음속보다 4.5배 빠른 제트엔진(시속 5508km)을 개발했으며, 이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획득했다.
극초음속 엔진을 실현한 곳은 군부대다. 지난 2016년 5월 미군과 호주군 합동 연구팀은 호주 사막 지대에서 극초음속 비행 기술에 관한 시험을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이 비행기는 고도 약 278km에 도달했을 때 마하 7.5(시속 9180㎞)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올해 초 보잉의 데니스 뮬렌버그(Dennis Muilenburg) CEO는 ‘CNBC’를 통해 “빠르면 2020년대에 상업용 극초음속 비행기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보잉 식의 극초음속 비행기가 실현되면 뉴욕서 중국 상해까지 2시간 이내의 비행이 가능하다.
공해 없는 저가의 바이오연료 비행기
현대식 제트엔진 대다수는 케로신(kerosene)을 사용하고 있다. 보통 등유(燈油)라고 하는데 가장 오래 전부터 우리 생활에 사용되어 오던 석유다. 원유로부터 분별 증류하여 얻는 끓는점의 범위가 180~250℃인 석유를 말한다.
그러나 이 연료는 비용은 물론 심각한 공해 문제를 유발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의 주 요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사들은 앞다퉈 공해유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트엔진용 바이오연료(biofuel)를 개발해왔다.
그리고 지금 유나이티드(United), KLM, 싱가포르 항공 등은 바이오연료로 움직이는 항공기를 운행하고 있는 중이다. 새로운 유형의 바이오연료들도 개발되고 있다. 채소 등 식물로부터 추출한 항공용 에탄올이 대표적인 경우다.
버진 아틀란틱 항공은 중국 기업과 협력해 제강공장에서 유출되는 가스를 활용한 바이오연료를 개발 중이다. 앞으로 유가가 고공행진을 할 경우 항공사들이 개발한 바이오연료들이 대거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비행기로 300억 달러 비용절감
자동차업계와 마찬가지로 최근 항공업계 관심은 무인비행기에 쏠려 있다. 보잉은 지난 6일 무인 비행기 개발을 위해 자율주행 로봇 항공기회사인 ‘오로라플라이트사이언스(Aurora Flight Sciences)’ 인수를 발표했다.
오로라플라이트사이언스는 자율주행 로봇 항공기와 운송수단을 개발하는 업체다. 현재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등의 자금으로 ‘ALIAS(Aircrew Labor In-Cockpit Automation System)’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무인 비행기 제작이 민간으로 확대되면서 항공업체들 간에 민감한 신경전이 전개되고 있다. 기술개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항공관계자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SF영화에서 보았던 무인 택시비행기가 출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전망이 가능한 것은 비용절감 때문이다. 스위스의 금융그룹 UBS에 따르면 항공업계가 무인비행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연간 약 300억 달러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안전 문제, 인력감축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바이오 인식, 커넥티드 기술 등 도입
제트블루는 올해 승객용 안면인식 기술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모든 승객들은 비행기표를 제시하는 대신 창구에 설치된 카메라에 얼굴을 조회해야 한다. 사전 등록된 영상과 일치했을 때 비행기 탑승이 가능하다.
다른 항공사들도 안면인식 기술을 도입 중이다. 델타항공의 경우 현대 자동화된 화물 시스템에 안면인식 기술을 도입하고 전면 도입을 위한 실험을 가동 중이다. 델타항공은 안면인식과 함께 지문 인식 시스템을 병행 실험 중이다.
자동차업계처럼 커넥티드 시스템도 도입 중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TV, 게임기, 로봇, 차량 등 다양한 기기가 통신 네트워크로 연동해 승객들의 편안한 비행을 도모하고, 또한 항공사와의 유대를 강화하자는 것.
아메리칸, 사우스웨스트, 유나이티드 등의 항공사들은 획기적인 커넥티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거액의 자금을 투입하고 있는 중이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이 도입되고 있는데 비행기 여행 문화를 크게 바꾸어놓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789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