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이 북서쪽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 빙하시대 이전에 형성된 호수 흔적을 발견했다.
표면에서 1.8km 아래에 있는 이 호수의 흔적은 과거 호수의 밑바닥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데 과거 신생대 지구의 모습을 추정케 하고 있다.
또 수백만 년 전부터 수십만 년 전까지 이 지역에 빙하 대신 호수가 어떻게 존재했는지 그 실상을 말해주고 있다. 기후온난화로 빙하가 급속히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 북극 상황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북서쪽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 빙하시대 이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호수의 흔적을 발견해 오래전 지구 모습과 환경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사진은 빙하 위에서 그린란드 개들이 쉬고 있는 장면. ⓒWikipedia
빙하 밑 1.8km에 7100 제곱킬로미터 규모
12일 ‘라이브 사이언스’에 따르면 이 거대한 호수 흔적은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라몬트-도헤티 지국 관측소를 통해 발견됐다.
연구에 참여한 가이 팩스맨(Guy Paxman) 연구원은 “접근할 수 없는 환경 속에서 매우 오래된 흔적들이 숨겨져 있었다.”며, “이를 통해 과거 지구의 기후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논문은 과학 저널 ‘지구·행성과학 회보(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 최근호에 게재됐다. 제목은 ‘A fault-bounded palaeo-lake basin preserved beneath the Greenland Ice Sheet’이다.
연구팀은 레이더를 이용해 그린란드 빙하 속에 있는 지형을 관측했다. 또 NASA의 빙하 관측 프로젝트인 ‘오퍼레이션 아이스브리지(Operation IceBridge)’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 빙하 표면에서 약 1.8km 떨어진 곳에 7100 제곱킬로미터 넓이의 호수 바닥의 흔적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또 이 호수가 있었을 당시 호수 바닥 아래 250m 지점까지 물에 잠겨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진은 또 북쪽으로부터 호수로 흘러들어가는 18개의 하천과 남쪽으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 거대한 호수로 많은 양의 물이 끊임없이 순환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동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 수백만 년 동안 그린란드 빙하가 여러 지점에 걸쳐 전진과 후퇴를 반복해오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빙하가 없는 구간이 발생할 수 있었고, 그 안에 호수가 형성됐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
이를 뒷받침하는 사실도 밝혀지고 있다.
연구팀은 “수백만 년 전 지구의 고대 단층(ancient fault)이 움직이면서 빙하 이동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는 사실이 지형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되고 있으며, 그 결과 그린란드에 초대형 호수가 생성됐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설명하고 있다.
대규모 시추작업 통해 신생대 지질‧환경 연구
연구팀은 또 호수가 발견된 지점에서 다수의 퇴적물이 축적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팩스맨 박사는 “호수가 발견된 빙하 아래 1.8km 지점에서 1.2km 지점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퇴적물이 축적돼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퇴적물을 통해 호수가 존재했던 시기가 수십만 년 전부터 수백만 년 전 사이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2021년부터 대규모 시추작업을 시작해 호수가 존속했던 시기가 언제인지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할 계획이다.
이전에 과학자들은 지난 2003년 그린란드 빙하 속을 시추해 3085m 지점에서 1m에 달하는 기반암을 수집한 바 있다.
이 작업을 위해 5년이라는 기간이 걸렸는데 최근 시추기술이 발전하면서 작업 기간이 단축되고 있는 중이다. 더구나 이번 시추작업은 1.2~1.8km로 과거보다 얕은 곳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부터 실시할 시추작업의 명칭은 ‘그린드릴(GreenDrill)’이다.
연구팀은 이 시추 작업을 통해 화석이나 특정 화학물질 등 퇴적물과 관련된 세부적인 물질을 탐사할 계획이다.
호수 속에 존재했던 생물이나 물질 등 각종 데이터를 통해 오래전 지구 기후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당시 빙하의 모습을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이 데이터를 통해 빙하가 없는 미래 북극 상황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빙하 아래 보존돼온 풍경이 빙하기 이전 지구 상황을 설명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지질학자들은 신생대를 전‧후반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6500만 년 전부터 200만 년 전까지를 제3기, 그 이후를 제4기로 구분하고 있으며, 제4기 후반 빙하가 확장됐던 시기를 빙하시대로 구분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를 통해 빙하시대를 넘어 신생대 상황을, 그중에서도 신생대 전반기인 제3기 상황을 있는 그대로 탐사해 신생대, 빙하시대로 이어지는 방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59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온도 감응 색 변화 염료를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체온 변화를 맨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필름 타입 색 변화 멤브레인보다 체온 범위 온도에서 색 변화 민감도를 최대 5배 이상 높일 수 있다.
인류가 만든 우주망원경 중 최강을 자부해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내달 12일 첫 이미지 공개를 앞두고 29일(현지시간)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웹 망원경을 운영할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에서 브리핑을 갖고 우주에 대해 새로운 세계관을 갖는 역사적인 순간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CNN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프로그램 책임자로 이 이미지 중 일부를 본 토마스 주부큰 부국장은 웹 망원경이 공개할 첫 이미지가 과학자들에게 감격적인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판다는 거의 대나무만 먹는 까다로운 입맛을 갖고 있다. 배가 고플 땐 곤충이나 설치류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대나무가 먹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식육목 곰과 동물이다 보니 이런 식성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화석을 통해 적어도 6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증거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췌장암은 5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한 치명적인 암 중 하나다. 췌장암이 이렇게 위험한 건 무엇보다 다른 부위로 걷잡을 수 없게 전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췌장암의 전이 속도를 늦추거나 전이 자체를 중단시킬 수 있는 '분자 경로'가 발견됐다. 문제를 일으키는 건 단백질 내 아미노산의 산화 손상을 복구하는 일명 '지우개 효소'(eraser enzyme)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률이 높다. 이는 폐경 때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뇌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신경 퇴행 질환 센터 인구 보건 과학 실장 모니크 브레텔러 박사 연구팀이 남녀 3천410명(평균연령 54세, 여성 58%)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0일 보도했다.
성인 암 생존자는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심장-종양 실장 로베르타 플로리도 교수 연구팀이 1987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경화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참가자 1만2천414명(평균연령 54세)의 2020년까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9일 보도했다.
오늘은 국제 소행성의 날입니다. 소행성 충돌 위험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요청하기 위해 2016년 유엔(UN)이 공식 지정했죠. 6월 30일은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 상공에서 지름 50m급 소행성이 폭발해 2천㎢의 숲을 황폐화한 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