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세계 최초 양자암호통신 장비 보안검증제 운영(종합)

보안 기준 152개 담아…내달 3일 시행

국가정보원은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장비 국가·공공기관 도입을 위한 ‘보안 기능 검증제도’를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국정원은 양자암호통신 장비를 양자키분배장비(QKD), 양자키관리장비(QKMS), 양자통신암호화장비(QENC) 세 가지로 분류했으며 총 152개의 보안 기준을 담았다.

시험기관으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을 지정했다. 이 가운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양자키분배장비(QKD)의 핵심 보안요소인 양자특성 시험을 전담하기로 했다.

국정원은 세계 각국이 차세대 보안기술로 양자암호통신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시험기준 부재로 공공분야 진출이 사실상 불가능했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양자암호통신장비의 보안기능 및 운용환경을 분석해 세계 최초로 최적의 보안요구사항을 도출하고 관련 절차를 마련했다”라고 강조했다.

양자암호통신장비 보안 기능 검증제도는 다음 달 3일부터 시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정보원·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국정원 관계자는 “보안 기능 검증제도로 양자암호통신장비가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됐다”면서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 관련 제품의 국내·외 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해 표준화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152)

뉴스레터 구독신청
태그(Tag)

전체 댓글 (1)

  • 김명찬 2023년 4월 1일9:39 오후

    양자암호통신 장비 보안 기능 검증제도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보안성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기술이여서 필요한 제도이고 이를 통해 민간기업에서에도 적용시킬 수 있을것입니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양자간 상호작용을 이용하기에 보안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요소들이 중요합니다. 그렇기에 제대로 된 제도를 통해서 보안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객의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간기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아직 상용화 되지 않아 민간기업에 적용한 사례는 없지만 삼성전자에서 양자보안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는 사례를 통해서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상용화 될 수록 이 양자암호통신 장비 보안 기능 검증제도를 적용할 가능성도 높아질 것입니다.

    따라서 양자암호통신 장비 보안 기능 검증제도를 통해 민간기업에 적용시킬 수 있고 앞으로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상용화 될 가능성이 있어 이 제도가 매우 필요해질 것입니다.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