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인천시 서구 환경위성센터 대회의실에서 22∼23일 국내외 위성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제12차 환경위성 국제 학술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학술대회는 한국이 환경위성 사업을 시작한 2010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국항공우주국, 유럽우주국, 벨기에 왕립항공우주연구원, 네덜란드 왕립 기상연구원 등의 위성 분야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다.
우리나라의 정지궤도 환경위성에 이어 발사를 준비 중인 미국의 정지궤도 환경위성(TEMPO·2022년)과 유럽의 정지궤도 환경위성(Sentinel-4·2024년) 관련 전문가 등도 참여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참석자들은 국립환경과학원이 올해 공개한 정지궤도 환경위성 관측 영상 14종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환경위성 자료를 활용한 재난 대응, 지상 미세먼지로의 변환기술 개발 등 환경위성 활용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위성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한국 국제협력단(KOICA),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 환경위성 공동활용 플랫폼 구축사업 등에 대해서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환경위성 검증·개선 및 아시아 대기질 감시를 위해 13개국에 지상원격 플랫폼을 구축하고, 환경위성 자료를 공유해 아시아 대기질 협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앞으로 아시아 각국에 고농도 대기오염물질 상시 배출지역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 아시아 각국의 대기질 개선정책을 지원하고, 개발이 완료된 환경위성 활용기술 또한 아시아 각국에 적용할 예정이다.
정은해 환경부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이번 국제 학술회의는 우리나라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정확도를 국제적으로 평가받는 자리”라며 “환경위성 활용 확대의 기준점으로 삼아 아시아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대응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