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산과학관에 어린이 전용 과학관이 문을 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6일 오후 2시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어린이과학관 개관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17일 정식 개관하는 어린이과학관은 대상 연령이 7~11세인 어린이 전용 과학관이다.
2017년 서울에 국립어린이과학관이 개관한 이래 대구, 대전, 광주에 이어 다섯 번째 국립어린이과학관이다.
어린이과학관은 국립부산과학관 본관 뒤편에 지상 3층, 연면적 3천206㎡(전시면적 1천861㎡)규모로 신축됐다.
‘세상의 연결’을 전시 주제로 잡은 어린이과학관은 어린이들이 세상과 미래를 연결해 주는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1층부터 3층까지 단계적으로 기초과학과 미래 첨단기술을 체험할 수 있게 구성했다.
3층에는 어린이들이 휴식을 취하며 과학 소양을 쌓고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어린이 전용 과학전문 도서관도 마련했다.
숙박형 과학교육 체험시설인 ‘과학교육캠프관’도 관람객을 맞을 준비를 마쳤다.
과학교육캠프관은 12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존 국립부산과학관의 숙박 교육시설에 더해 추가로 120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건물을 신축했다.
신축된 시설은 숙박을 위한 객실 외에도 12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강당과 2개의 강의실, 옥상 야외천체관측장을 갖추고 있어 학교 밖 과학교육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부산에 어린이과학관이 개관함에 따라 5개 거점 국립과학관에 어린이 전용 과학관이 생겨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미래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주역인 어린이들이 과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어린이 전용 과학 체험시설을 꾸준히 확대해 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13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신 중 뇌전증(간질) 치료제인 발프로산(valproate) 등 일부 항경련제에 노출된 아이는 나중에 정신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환경이 8개 지표 중 7개에서 이미 '위험 구역'으로 들어가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성인 환자 3명 가운데 1명은 심혈관질환 증상이나 징후가 없더라도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감압점착제에 온도 반응성을 부여해 고온에서 쉽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일 밝혔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우리나라 성인의 중증 우울증 유병률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1일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