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오전 장석영 제2차관 주재로 ‘ICT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등의 유관기관이 참석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회의에서 ▲ ICT 업계 피해 회복 ▲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 ICT로 경제활력 제고 등 3대 분야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다.
ICT 업계 피해 회복 TF는 코로나19로 인한 ICT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대책을 수립하는 역할을 한다.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TF는 통신3사, 방송사, 인터넷기업, 우정사업본부 등과 함께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에 대한 추가 지원 대책을 수립한다.
ICT로 경제활력 제고 TF는 비상경제 상황에서의 ICT 역할과 중·장기적 대응 방향을 마련한다.
(24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