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와 공유의 네트워크 문화가 경제 영역에서도 활성화되고 있다. 공유경제가 대표적이다. 다른 말로는 협력적 소비라고도 부른다. 공유경제는 재화를 소유한 사람에게는 임대수익을, 빌리는 사람에게는 비용절감이라는 이득을 준다. 하지만 경제적 이유가 전부는 아니다. 과잉 생산을 줄여 자원을 절약하는 등 환경오염을 줄이는데도 역할을 하고 있다.
공유경제라는 단어는 지난 2008년 하버드대 로렌스 레식 교수가 처음 사용했다. 하지만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품앗이’, ‘두레’라는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비록 이제는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변질됐지만 오프라인 신문인 ‘벼룩시장’ 도 공유경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공유경제는 IT를 기반으로 확대
그럼 과거 ‘품앗이’ 경제와 지금 화두가 되고 있는 공유경제는 어떻게 다를까.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IT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공유경제는 특정 상품과 서비스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짧은 시간에 바로 서비스를 쓸 수 있는지, 위치가 얼마나 가까운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즉 실시간으로 이용현황, 위치정보 조회, 즉시 신청 및 승인확인이 요구된다.
둘째는 소유하기 힘들고 부담스럽거나 소유할 경우 가치가 확대될 수 있는 것들이 공유경제의 콘텐츠가 되고 있다. 자동차나 집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1인 가구들이 이 서비스 수요가 높은 편이다. 집, 차량, 일손 등 산품이나 서비스를 내가 원하는 부분만 작은 단위로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유경제 모델은 ‘에어비앤비(Airbnb)'이다. 집을 대여하는 서비스이다. 독특한 점이라면 단순한 대여가 아니라 고객의 상상 속 잠자리를 현실로 실현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는 것. 이 사이트는 단순히 민박을 알선하는 서비스가 아니다. 이글루도 있고 오스트리아 고성도 등록되어 있다. 즉 고객이 원하는 스타일을 골라 숙박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 이 회사 사이트에는 186개국 약 1만 6천개 도시의 집들이 등록돼 있다. 회원 수도 8만 5천여 명에 달한다. 지난 2010년 예약건수가 2009년 비해 800% 증가할 만큼 폭발적 성장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세계에서 가장 많은 60만개의 방을 보유하고 있는 힐튼호텔보다 더 많은 방이 에어비엔비에 등록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자동차를 공유하는 ‘집카(Zipcar) 역시 급성장 중에 있다. 현재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이기도 하다. ’집카‘는 차량을 회원끼리 공유한다는 개념을 설정하고 있다. 평소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가끔 긴급하게 차량이 필요하다. 이때 ’집카‘를 이용한 자동차를 공유하여 사용하면 된다. ’집카‘는 독특한 첨단 기술이 동원되고 있다. 차량 개폐를 위해 일종의 회원증이자 차량용 열쇠칩인 ’집카드(Zipcard)‘에 전자태그 RFID 전송기가 장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위치 추적, 실시간 운행기록이 본사 서버에 저장된다. 현재 56만 명의 회원을 두고 있으며, 28개 지역에 약 8000여 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일을 공유하는 ‘태스크래빗(Tasklabit)', 인근에 사는 사람에게 망치, 텐트 등을 빌릴 수 있는 ’세어섬슈거(Sharesomesuger)'도 선호되는 서비스 중 하나이다. 물론 우리나라 역시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약 40개 정도가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어비앤비’와 비슷한 ‘비앤비히어로’, 도서를 공유하는 국민도서관 책꽂이 ‘북국’, 품앗이 육아인 ‘품앗이 파워’ 등이 있다. 최근에는 사무실을 공유하는 등 기업영역으로 공유경제가 확산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평판이 중요하게 작용
그런데 공유경제에 드는 의문점이 있다. 과연 사용자들이 정직하게 사용할지에 대한 믿음이다. 예를 들어 집을 공유하게 되면 그 집의 물건을 가져가버리거나 험하게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텐트를 사용하고 돌려주지 않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과연 이런 위험적인 요소들은 어떻게 관리는 것일까.
사실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에어비앤비’ 서비스를 이용한 한 여성이 일주일 동안 해외출장을 가면서 자신의 빈집을 내놨다. 짧은 기간 숙박비를 벌어보고자 하는 생각에서였다. 일주일 뒤, 그는 난장판이 된 집안풍경에 아연실색하게 됐다. 중요 물건이나 서류도 도둑맞았다. 이 사건으로 ‘에어비앤비’ 신뢰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혔다. 하지만 최고 경영자가 재발방지를 약속하고 소비자들의 의견을 대안을 제시했다. 그 방안은 바로 ‘평판’이다.
보통 이제까지 기업들은 선의의 소비자보다 ‘블랙컨슈머’라 불리는 악덕 소비자에게 약한 모습을 보였다. 그래서 조용히 쇼핑하는 고객보다 매장 앞에서 큰 소리 치면 분란을 조장하는 소비자들에게 보상이 컸다. 기업의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
공유경제에서는 좀 다른 모습이다. 소비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관리해야 한다. 평판이 하나의 재화가 되고 있는 셈이다. 마치 금융신용을 관리하는 것처럼 말이다. ‘에어비앤비’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우치서핑’은 숙소 이용료를 받지 않는다. 대신 집주인이 손님을 고른다. 평소 이 서비스 내에서 좋은 평판을 쌓아야만 숙소를 이용할 수 있다. 집주인들의 좋은 평가가 다음 집을 구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또한 문제가 있다. 공유경제 모델은 최근 1-2년 사이에 생겨났다. 평판과 신뢰를 쌓기에는 시간이 너무 짧다. 이런 약점을 페이스북과 같은 SNS가 해결해주고 있다. 특히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대부분 공유경제 모델은 공개인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만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도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신규 가입자의 주변평판과 인간관계를 살펴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공유경제 확산에 SNS가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공유경제라는 단어는 지난 2008년 하버드대 로렌스 레식 교수가 처음 사용했다. 하지만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품앗이’, ‘두레’라는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비록 이제는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변질됐지만 오프라인 신문인 ‘벼룩시장’ 도 공유경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공유경제는 IT를 기반으로 확대
그럼 과거 ‘품앗이’ 경제와 지금 화두가 되고 있는 공유경제는 어떻게 다를까.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IT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공유경제는 특정 상품과 서비스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짧은 시간에 바로 서비스를 쓸 수 있는지, 위치가 얼마나 가까운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즉 실시간으로 이용현황, 위치정보 조회, 즉시 신청 및 승인확인이 요구된다.
둘째는 소유하기 힘들고 부담스럽거나 소유할 경우 가치가 확대될 수 있는 것들이 공유경제의 콘텐츠가 되고 있다. 자동차나 집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1인 가구들이 이 서비스 수요가 높은 편이다. 집, 차량, 일손 등 산품이나 서비스를 내가 원하는 부분만 작은 단위로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유경제 모델은 ‘에어비앤비(Airbnb)'이다. 집을 대여하는 서비스이다. 독특한 점이라면 단순한 대여가 아니라 고객의 상상 속 잠자리를 현실로 실현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는 것. 이 사이트는 단순히 민박을 알선하는 서비스가 아니다. 이글루도 있고 오스트리아 고성도 등록되어 있다. 즉 고객이 원하는 스타일을 골라 숙박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 이 회사 사이트에는 186개국 약 1만 6천개 도시의 집들이 등록돼 있다. 회원 수도 8만 5천여 명에 달한다. 지난 2010년 예약건수가 2009년 비해 800% 증가할 만큼 폭발적 성장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세계에서 가장 많은 60만개의 방을 보유하고 있는 힐튼호텔보다 더 많은 방이 에어비엔비에 등록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자동차를 공유하는 ‘집카(Zipcar) 역시 급성장 중에 있다. 현재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이기도 하다. ’집카‘는 차량을 회원끼리 공유한다는 개념을 설정하고 있다. 평소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가끔 긴급하게 차량이 필요하다. 이때 ’집카‘를 이용한 자동차를 공유하여 사용하면 된다. ’집카‘는 독특한 첨단 기술이 동원되고 있다. 차량 개폐를 위해 일종의 회원증이자 차량용 열쇠칩인 ’집카드(Zipcard)‘에 전자태그 RFID 전송기가 장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위치 추적, 실시간 운행기록이 본사 서버에 저장된다. 현재 56만 명의 회원을 두고 있으며, 28개 지역에 약 8000여 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일을 공유하는 ‘태스크래빗(Tasklabit)', 인근에 사는 사람에게 망치, 텐트 등을 빌릴 수 있는 ’세어섬슈거(Sharesomesuger)'도 선호되는 서비스 중 하나이다. 물론 우리나라 역시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약 40개 정도가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어비앤비’와 비슷한 ‘비앤비히어로’, 도서를 공유하는 국민도서관 책꽂이 ‘북국’, 품앗이 육아인 ‘품앗이 파워’ 등이 있다. 최근에는 사무실을 공유하는 등 기업영역으로 공유경제가 확산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평판이 중요하게 작용
그런데 공유경제에 드는 의문점이 있다. 과연 사용자들이 정직하게 사용할지에 대한 믿음이다. 예를 들어 집을 공유하게 되면 그 집의 물건을 가져가버리거나 험하게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텐트를 사용하고 돌려주지 않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과연 이런 위험적인 요소들은 어떻게 관리는 것일까.
사실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에어비앤비’ 서비스를 이용한 한 여성이 일주일 동안 해외출장을 가면서 자신의 빈집을 내놨다. 짧은 기간 숙박비를 벌어보고자 하는 생각에서였다. 일주일 뒤, 그는 난장판이 된 집안풍경에 아연실색하게 됐다. 중요 물건이나 서류도 도둑맞았다. 이 사건으로 ‘에어비앤비’ 신뢰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혔다. 하지만 최고 경영자가 재발방지를 약속하고 소비자들의 의견을 대안을 제시했다. 그 방안은 바로 ‘평판’이다.
보통 이제까지 기업들은 선의의 소비자보다 ‘블랙컨슈머’라 불리는 악덕 소비자에게 약한 모습을 보였다. 그래서 조용히 쇼핑하는 고객보다 매장 앞에서 큰 소리 치면 분란을 조장하는 소비자들에게 보상이 컸다. 기업의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
공유경제에서는 좀 다른 모습이다. 소비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관리해야 한다. 평판이 하나의 재화가 되고 있는 셈이다. 마치 금융신용을 관리하는 것처럼 말이다. ‘에어비앤비’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우치서핑’은 숙소 이용료를 받지 않는다. 대신 집주인이 손님을 고른다. 평소 이 서비스 내에서 좋은 평판을 쌓아야만 숙소를 이용할 수 있다. 집주인들의 좋은 평가가 다음 집을 구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또한 문제가 있다. 공유경제 모델은 최근 1-2년 사이에 생겨났다. 평판과 신뢰를 쌓기에는 시간이 너무 짧다. 이런 약점을 페이스북과 같은 SNS가 해결해주고 있다. 특히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대부분 공유경제 모델은 공개인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만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도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신규 가입자의 주변평판과 인간관계를 살펴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공유경제 확산에 SNS가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 김연희 객원기자
- iini0318@hanmail.net
- 저작권자 2012-10-0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