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프랑스 에펠탑 1층 전망대에서는 공룡 뼈 경매가 진행되었다. 위 공룡이 살았던 시대와 정확한 종은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지만 뼈 길이는 9m에 달할 정도로 매우 크다. 또한, 70% 이상이 복원된 상태로 매우 훌륭한 보존 상태를 자랑하고 있다. 위 공룡 뼈는 234만 유로, 즉 우리 돈으로 대략 30억 원 정도에 낙찰되었다.
이뿐이 아니다. 1744년 영국에서 설립된 이후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경매 회사 역사를 자랑하는 소더비스(Sotheby’s)에서는 지난달 고르고사우르스(Gorgosaurus)의 뼈를 경매에 올렸다. 소더비스는 7월 말 위 경매를 시작하며 대략 최소 70억 원에서 최대 100억 원 정도에 낙찰될 것임을 예측했다. 결국 경매는 성공적으로 끝나며 우리 돈으로 대략 90억 원 정도에 낙찰되었다. 위 경매의 낙찰자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위 공룡의 이름을 정할 수 있는 특별한 권리까지 가지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소더비스에서는 경매에 올린 고르고사우르스 뼈의 모습, 완벽히 복원된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 sothebys.com
소더비스에 따르면 이 화석은 2018년 몬태나주 쇼토 카운티의 주디스 강 부근 사유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최종 골격은 총 79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약 7,700만 년 전에 생존했다고 여겨지는 고르고사우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의 친척이지만 더 빠르고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더비스 과학 및 대중문화 글로벌 책임자인 카산드라 해튼(Cassandra Hatton)은 자신은 그동안의 경매 경험을 통해서 특별하고 독특한 물건을 판매하는 특권을 누려왔지만, 위 고르고사우루스만큼 경이로움을 일으키는 물건은 없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고작 몇 년 전에 발굴된 고르고사우루스는 그동안 경매에 나온 적이 없었으며 위 공룡이 처음으로 대중에 나타나고 대중과 공유할 수 있음을 자신의 경력 중 단연 하이라이트라고 표현했다.
지난달 소더비스에서는 경매에 올린 고르고사우르스 뼈의 모습, 완벽히 복원된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 sothebys.com
전문가들은 고르고사우루스의 발견은 큰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한다. 키가 2.8m, 몸길이가 6.7m에 달할 정도로 큰 고르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 살았던 육식 공룡이었다. 티라노사우루스와 마찬가지로 큰 수각류이며 수십 개의 날카롭고 구부러진 이빨이 있다. 또한 티라노사우루스같이 두 개의 작은 앞다리가 있다.
4마리 이상 무리를 지어서 사냥을 진행했다고 예측되는 고르고 사우루스는 당시 가장 무서운 포식자로 평가된다. 현재까지 최강으로 알려진 티라노사우루스의 사냥 실력을 능가할 수 있으며 이는 공룡의 역사를 바꿀 수 있는 발견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공룡의 이름인 ‘고르고(Gorgo)’사우루스(Saurs)도 그리스어로 ‘사나운(άγριος)’ 도마뱀(σαύρα)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고르고사우루스의 뼈는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지만, 이번 경매에 올라간 고르고사우루스의 뼈는 유일하게 개인의 소장품이었다. 일부 고고학자들 및 과학자들은 이에 큰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sothebys.com
이번 고르고사우루스의 판매는 소더비스에서 진행한 두 번째 공룡뼈 경매이다. 지난 1997년 소더비스는 지금까지 발견된 공룡 화석 중 가장 크고 완벽한 공룡 화석 중 하나인 티라노사우루스(수 Sue라는 별명이 붙은 공룡, 해당 공룡을 발견한 수집가 수 헨드릭슨 Sue Hendrickso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를 시카고의 필드 박물관에 약 100억 원에 판매했다.
수 헨드릭슨이 해당 공룡을 처음 발견했을 때의 광경 ⓒ awesomestories.com
Sue의 경매 때도 큰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 당시에는 화석 자원 등의 관리에 대한 문제가 불거지고 있었으며 고생물학 및 과학의 발전에 잠재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에 관해서 당시 한 고생물학 커뮤니티에서는 경매로 판매되는 위 중요한 화석이 결국 개인 소장품이 되어서 과학 연구에 사용될 수 없을지에 대한 큰 우려를 표했고 공공적 목적으로도 이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걱정을 낳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이를 통해서 미국의 여러 주 정부에서는 미국 연방 토지의 화석 자원 보호에 관한 연방법 제정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2020년 티라노사우루스 ‘스탠’은 크리스티에서 약 500억이 넘는 가격에 낙찰되며 세계 기록을 세우게 된 사례가 있었는데, 판매 당시 고생물학자들은 큰 우려를 표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3월 아부다비의 문화관광부는 2025년 새로 문을 열 자연사 박물관에서 스탠을 전시할 것임을 알렸다.
인디애나 대학교(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에서 지구 및 대기 과학을 연구하는 데비비드 폴리 교수(Prof. David Polly)는 이에 관해서 미국에는 사유지에서 나온 화석에 대한 법이 없지만, 과학자들 입장에서는 모든 화석이 중요하기에 반드시 박물관과 같은 공공 저장소에 저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 쉬우리라 예측했다. 즉, 연구자료로 이용되기 쉽고 대중이 배우고 즐길 수 있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사유지의 화석은 사유지의 주인이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며, 반면 공공 토지의 화석은 연방 정부의 규제를 받으며 본질적으로 정부의 의지대로 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폴리 교수도 이러한 경매 행태는 어쩔 수 없는 행위라고 주장할 뿐 공룡의 고액 경매 행위에 대해서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그는 이런 행위에서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해당 경매 참가자가 공룡 뼈를 박물관에 기부하거나 돈이 많은 부자들이 박물관이 경매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많은 돈을 기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의 해부학 및 척추동물 고생물학 그레고리 에릭슨 (Prof. Gregory Erickson) 교수는 공룡에 가격표가 붙어있다는 사실이 슬프지만, 이것은 흑백 논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박물관에서도 상업용 표본을 구입한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공룡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지나치게 가격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영국 에든버러 대학에서 고생물학 및 진화를 연구하는 스티브 브루사테(Prof. Steve Brusatte) 교수 역시 공룡 뼈가 수십억을 호가한다면 이런 가격을 감당할 수 있는 박물관이 없을 것이라며 이러한 높은 가격이 붙은 경매 행태를 꼬집었다.
(299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이래 3개월여만에 ‘블루 아카이브’를 비롯한 한국산 게임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2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을 포함한 27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허가했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마침내 한국에 상륙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애플과 현대카드는 21일 오전부터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호환 단말기를 보유한 매장에서 카드 실물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당초 양사는 이달 초를 서비스 개시 목표일로 삼았으나 호환 단말기 보급 이슈
/ 피해 규모만 매년 수천억 원대에 달하는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에는 불법 콜 중계기(심박스) 등 다양한 장비가 이용된다. ‘심박스’는 인터넷 전화(VoIP)를 이동통신 전화(VoLTE·3G) 전화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데, 해외 보이스피싱 범죄자가 국내 피해자에게 전화할 때 단말기에 ‘070’ 번호가 아닌 ‘010’ 번호가 뜨도록 하는 장비다. 심박스를 탐지하기 위해 현재까지 발신자·통화 시간·통화 위치·음질 등 통화 정보를
/ 경북도가 로봇 기업, 연구기관 등과 손잡고 인공지능(AI) 서비스로봇 제조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도는 21일 도청 회의실에서 구미시, 자율주행 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 로봇 제조 업체 인탑스, KT, 경북테크노파크, 경북도경제진흥원, 한국로봇융합연구원과 업무협약을 했다. 기업과 연구소 등은 앞으로 AI 서비스로봇 산업육성, AI 서비스로봇 부품 국산화 및 기술개발 생태계 조성, 연구개발 및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미국 국토안보부 과학기술본부와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인력의 교류 촉진과 공동 연구를 위한 협력공동의향서(JSOI)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과 디미트리 커스네조브 미국 국토안보부 과학기술본부 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중앙우체국에서 한미 동맹 70주년을 기념해 면담을 갖고 양국 간 공동 연구와 인력 교류를 내용으로 하는 공동의향서에 서명했다. 양국은 디지털 전환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춘천센터 김길남 박사 연구팀이 강원 양구군·국립수목원과 공동으로 개느삼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쥐의 대식세포에 염증 반응을 유도한 뒤 대표적 염증유발물질인 산화질소의 생성 저해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개느삼 뿌리 추출물을 처리한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 발현이 47.5% 감소했다. 염증 유발 단백질인 산화질소 합성 효소(iNOS)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 국내 우주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엔진 검증용 시험 발사체 ‘한빛-TLV’가 현지시간 19일 오후 2시 52분(한국시간 20일 오전 2시 52분) 브라질 공군 산하 알칸타라 우주센터(CLA)에서 발사됐다고 밝혔다. 브라질 공군은 “한빛-TLV가 브라질 탑재체를 싣고 4분 33초 동안 비행했다”며 이번 발사 임무가 ‘양국 협력에 따른 성공’이라 될 것 같다고 표현했다. 이노스페이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