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 과학기술인
  • 오피니언
오피니언
2004-07-29

곰팡이와 버섯, 균류의 세계 [기고] 최승일 강원철원고 교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곰팡이와 버섯 무리를 균류라고 한다. 옛날에는 광합성을 하는 고등식물과 비교하여 균류를 광합성을 하지 않는 하등식물로 분류하였다가, 현재는 식물과는 다른 계통의 생물 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왜냐하면 균류는 엽록소 등과 같은 동화색소가 없어서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균사에서 효소를 분비하여 양분을 분해한 후 흡수하여 살아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균류는 다른 생물체에 붙어서 기생 생활을 하거나 사체(死體) 또는 배설물에 붙어서 부생 생활을 한다.


균류는 보통 군사의 격벽 유무와 생식방법에 따라 접합균류(조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3가지로 분류한다. 접합균류(검은빵곰팡이, 거미줄곰팡이 등)는 균사에 격벽이 없으며 접합포자로 번식을 하고, 자낭균류(푸른곰팡이, 효모 등)는 균사에 격벽이 있으며 접합으로 만들어진 자낭포자로 번식을 하고, 담자균류(버섯, 녹병균 등)도 역시 균사에 격벽이 있으나 접합으로 만들어진 담자포자로 번식한다.


송이버섯과 표고버섯 등은 요리의 재료로 이용되는 식용버섯이고, 광대버섯과 파리버섯 등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며, 영지버섯과 상황버섯 등은 약용으로 이용되는 버섯이다.


곰팡이 무리는 우리 몸의 피부에 기생 생활을 하면서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사타구니가 벌겋게 부어 오르고 간지러우면 습진을 생각하기 쉬운데, 그것은 습진이 아니라 곰팡이 질환(백선)이다.


습진은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현상을 통칭하는 증세로서 곰팡이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곰팡이 질환에 습진 약을 바르는 것은 ‘기름을 지고 불에 뛰어드는 격’ 이다. 왜냐하면 습진 약의 성분(부신피질호르몬)은 곰팡이의 생장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사타구니 외에 곰팡이가 잘 침입하는 피부 부위는 발이다. 한국인의 10명중 1명이 골탕 먹고 있는 무좀이 대표적인 사례다. 무좀 곰팡이는 기온 20℃이상 습도 70%이상의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극성을 부린다.


무좀 곰팡이는 피부의 딱딱한 각질층을 파괴시키기 때문에 다른 병원균이 잘 침입하여 2차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무좀은 늘 발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약을 부지런히 바르면 퇴치할 수 있다.


그러나 좀 나았다 싶어 치료를 멈추면 곰팡이에 내성이 생겨 더욱 고질화되기 싶다. 표면적으로 증세가 사라졌다 해도 피부 표피가 완전히 바뀌는 기간인 50-70일 정도 꾸준히 치료하여야 한다.


곰팡이는 유익하게 이용되기도 한다. 녹말을 당으로 바꾸는 누룩곰팡이, 당에서 알코올을 만드는 효모, 녹말을 당으로 다시 당을 알코올로 바꾸는 거미줄곰팡이 등은 발효산업에 많이 이용된다.


1929년 영국의 플레밍은 푸른곰팡이(Penicillium notatium, P. chrysogenum)에서 최초의 항생물질인 페니실린을 발견하였다. 호밀 꽃에 기생하는 자낭균의 일종인 맥각은 출산 후의 출혈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여러 종류의 버섯에서 항암성 물질이 발견되기도 한다. 효모는 풍부한 단백질과 비타민 B와 D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배양하여 과자나 수프에 혼합하거나, 동물의 사료로 이용된다.


영화 ‘에일리언’ 에 등장하는 외계인은 인간의 몸 속에서 어느 정도 자라나다 결국 인간의 몸을 뚫고 나오는 끔찍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런데 자연계에도 이와 유사한 생물로 ‘겨울에는 곤충이지만 여름에는 풀’ 이라는 뜻의 동충하초(冬蟲夏草)가 있다.


동충하초는 겨울에는 곤충 몸 속에서 살다가 여름에 곤충의 몸을 뚫고 나와 풀처럼 돋아 나오는 희한한 균류이다. 이들은 곤충이나 식물의 종자에 들어가서 숙주 안에 있는 물질을 영양 원으로 이용해 살다가 숙주의 몸밖으로 버섯 형태의 모양을 형성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박쥐나방의 유충을 숙주로 하는 박쥐나방동충하초, 나비목의 큰 번데기를 숙주로 하는 매미다발동충하초, 하늘소 등 여러 종류의 곤충을 숙주로 하는 백강균 등이 있다.


동충하초는 크게 두 가지 면에서 우리에게 유익한 생물이다. 먼저 약재로서의 기능이다. 무엇보다 사람의 면역 기능을 강화시킨다는 점이 가장 커다란 특징이다. 동충하초에 함유된 다당류 성분은 면역력 증강에 효과가 크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에이즈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두 번째로 곤충에게 병을 일으킨다는 동충하초 본래의 성질을 이용하여 해충을 없애는 일이다. 현재까지 농가에서 사용되는 해충 방제 법은 화학 농약을 뿌리는 것이다.


그러나 화학 농약은 독성이 강해 사람이나 가축에게 피해를 입히고,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비해 동충하초는 생태계와 사람 모두에게 적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생물학적 방충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작권자 2004-07-29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